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항 미생물성 식용필름의 코팅(Antimicrobial edible films and coatings)

전문가 제언
□ 유해한 미생물에 대하여 더 안전하고, 포장된 부피가 작아서 더욱 편리하고, 보존기간이 더욱 긴 즉석식품의 소비자 선호도가 증가함에 따라 식품산업에서는 새로운 가공, 조리, 취급 및 포장 방법에 대하여 끊임없는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즉석식품의 경우 가공 후 식품표면에 미생물의 오염이 보존기간 단축 등의 주요한 원인이다. 가장 일반적으로는 비식용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포장재로 사용하고 있으나 여러 가지 생분해성 단백질 혹은 탄수화물 소재의 식용필름도 식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안전성 및 보존기간을 연장 시킬 수 있는 좋은 포장 방법으로 새롭게 적용되고 있다.

□ 특히 식용필름을 육가공 제품, 조리된 분말제품, 반 건조된 식품 등의 표면에 코팅하면 식품 고유의 수분 및 향미성분 손실방지 및 외부 미생물의 오염방지 효과뿐만 아니라 식용필름에 원하는 향기 및 향미성분, 항 미생물 성분, 항산화제, 색소 및 영양소 성분 등을 첨가하여 제조된 필름을 적용하면 최종 생산품의 품질을 더 한층 향상 시킬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아울러 하나의 단위로 포장되어지는 내용물 혹은 입자 각각마다 피복되므로 비식용의 폴리프로필렌 필름 포장을 개봉한 후에도 미생물의 재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다.

□ 식용필름 소재로서 단백질성, 탄수화물성, 지방성 필름이 소개되고 있으나 이들 소재 물질의 혼합 등에 의한 새로운 기능성 소재 개발, 필름에 첨가하는 목적 성분의 방출 속도 조절기술 개발, 및 효율적인 코팅 방법 개발 및 응용공정 연구 등은 생산되는 식품의 품질을 더 한층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소비자의 선호도를 독점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Cagri, A; Ustunol, Z; Ryser, ET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67(4)
잡지명
JOURNAL OF FOOD PROTE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833~848
분석자
윤*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