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태성고혈압의 유전(Genetics of essential hypertension)
- 전문가 제언
-
□ 혈압은 심장에서 밀어내는 혈액이 혈관, 특히 동맥 안에서의 압력으로 심장이 수축할 때 동맥이 받는 높은 혈압을 수축기혈압이라고 하며, 이완기혈압은 심장이 다시 수축을 위해 폐에서 산소를 포함하고 있는 피를 심장으로 들어오게 하는 동안의 압력이다. 이러한 혈압이 나이나 운동, 스트레스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달라지지만 정상혈압은 수축기가 140mmHg, 이완기가 90mmHg 이하로 보고 있다.
□ 일반적으로 고혈압은 수축기혈압이 140이상이거나 이완기혈압이 90이상으로 지속되는 경우를 말하고 특히 이완기혈압이 90-104일 때를 경증고혈압, 105-110일 때를 중증도고혈압, 110이상일 때를 고도고혈압이라고 분류하기도 한다. 고혈압은 대부분의 경우 원인을 알 수 없으며 이러한 경우를 본태성고혈압이라 하며, 그 원인을 알 수 있는 경우를 이차적 고혈압원이라고 하고 있으나, 그 원인을 알 수 있는 경우는 전체 고혈압의 10%도 되지 않는다.
□ 전 세계 인구 중 10억은 본태성고혈압에 속하는데 이러한 고혈압이 유전적 성향이 많아 본태성고혈압 환자의 가족에는 고혈압 환자가 많다. 최근에 유전체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감수성유전자를 찾고자하는 노력이 미국과 영국 등 선진국에서 대형프로젝트로 수행 중에 있다.
□ 이 논문에서는 지난 18개월 동안에 발표된 고혈압을 유전적으로 다룬 논문을 검토하고 있다. 두개의 대형 유전체를 혈압에 대한 검색을 통해 관련유전자가 6번 염색체의 긴 쪽(chromosome 6q)에서 식별되고 있으며 그 외의 염색체 여러 부위에서 연관을 보이고 있어 혈압과 같은 양적인 유전형질에 대한 유전자들을 연쇄분석으로 식별하는데 관심을 모으고 있다.
□ 또 고혈압과 관련이 있는 증후군에 있어 이온전달과 대사를 조절하는 유전자, WNK4, WNK1, RNO 등의 기능과도 관계가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설치류 동물에서는 혈압을 결정하는 인자가 양적인 특성을 가진 여러 개의 유전자에 의해 정해진다는 것을 유전자연쇄분석과 실험을 통해 밝히고 있다.
- 저자
- Mein, CA; Caulfield, MJ; Dobson, RJ; Munroe, PB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13
- 잡지명
- HUMAN MOLECULAR GENETIC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69~175
- 분석자
- 강*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