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스 - 신종 질환에 대한 공중보건계의 반응과 임상학적 최신 정보(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public health response and clinical practice update for an emerging disease)
- 전문가 제언
-
□ 중증급성 호흡기증후군(사스)은 SARS-CoV로 알려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질환이다. 이 신종 질환은 2002년 11월부터 중국 광동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여 이후 몇 달 안에 남북 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등의 12개국 이상으로 확산되었다. 이 질환은 높은 고열 및 폐렴과 동일한 방사선 소견을 보이는 특징을 갖는다. 발생 초기인 2002년 11월부터 2003년 7월까지 총 환자수 8,098명, 사망자수 774명으로 치사율은 9.6%이며 발생 환자 중 보건의료인은 1,707명으로 21%에 달한다.
□ 이 질환의 진단에는 임상적 소견 외에도 감염지역으로의 여행이나 의심 환자와의 접촉과 같은 역학적 소견이 필요하다. 모든 유행지역에서 사스의 주요 전파경로는 전염성이 있는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에 의한 눈, 코, 입을 통한 직접 접촉이었으며 공기에 의한 전파는 뚜렷한 증거가 없다. 일반적으로 대량 감염을 야기하는 기침에 의한 공기전파는 증거가 없기 때문에 자주 손을 씻는 등의 단순한 예방 조치로도 전파 속도를 상당한 수준으로 늦출 수 있다.
□ 사스 발생이 가장 많은 사회집단은 보건 의료인, 특히 에어로졸이 발생되는 시술에 참여하는 의료인으로 전체 환자의 21%를 차지한다. 이들 의료진 중에는 마스크, 고글, 가운, 장갑 등 개인 보호구를 착용했음에도 감염된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소수에서는 경증 환자에 짧은 시간 동안 노출되었는데도 감염된 경우도 있었다.
□ 전염성이 가장 강한 시기는 발병 후 10일 경이며, 이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발병 2주 째의 중증 환자나 급속히 임상 증상이 악화되는 환자에게 노출되었을 때에 전파가 가장 활발하며 발병 후 5일 이내에 격리되면 2차 전파는 크게 감소된다. 사스는 현재까지 소아-소아에서의 전파는 보고된 적이 없다. 역학조사 결과도 사스가 학교 집단에서 전파된 경우는 없지만 소아에서 무증상 또는 경증 감염의 가능성은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 저자
- Keeler, N; Lingappa, J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16(1)
- 잡지명
- LKY, 2003, LANCET, V361, P1615; TSANG KW, 1985, NEW ENGL J MED, V348, P1977; UTSUMI K, 1990, ADV EXP MED BIOL, V276, P525; VARIA M, 2003, CAN MED ASSOC J, V169, P285; WANG QF, 2003, CHIN CRIT CARE MED, V15, P357; WANG H, 2003, P INT SCI S SARS BEI, P19; WONG RSM, 2003, BRIT MED J, V326, P1358; WONG KT, 2003, RADIOLOGY, V228, P401; WONG GWK, 2003, PEDIATR PULM, V36, P261; WOODS RD, 1998, ADV EXP MED BIOL, V440, P641; XU YD, 2003, CHIN CRIT CARE MED, V15, P343; XUE XY, 2003, CHINESE MED J-PEKING, V116, P819; YANG WL, 2003, LANCET, V361, P1386; ZHAO Z, 2003, J MED MICROBIOL, V52, P715; ZHONG NS, 2003, LANCET, V362, P135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61~69
- 분석자
- 김*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