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의 한타바이러스 감염(Hantavirus infection in children)
- 전문가 제언
-
□ 1993년 미국에서 한타 바이러스에 의한 폐질환증후군(Hantavirus Pulmonary Syndrome, HPS)이 처음 기술된 이래 새로운 한타 바이러스에 의한 폐질환이 여러 차례 보고되었고 또한 새로운 종의 한타 바이러스가 미국 전역에서 발표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심폐질환증후군으로 알려져 있다.
□ 이 병은 설치류가 바이러스의 온상이며 이 바이러스는 설치류에 오랫동안 잠복하고 있다가 사람의 행동 변화와 설치류의 생태가 바뀌면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바이러스인 Sin Nombre Virus(SNV)와Andes Virus (ANDV)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한타 바이러스도 숙주에 따라 그 독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 지금까지 FDA에서 승인한 특별한 약이나 백신 혹은 면역치료제는 없으며 다만 적극적인 수발만이 이들 환자의 사망률을 낮추고 있다. 약으로 Ribavirin을 시험한 예는 있으나 한타 바이러스에 의한 심페질환증후군(Hantavirus Cardiopulmonary Syndrome, HCPS)에는 도움을 주지 못했다.
□ 유행성 출혈열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지역과 유럽지역에 서식하는 등줄 쥐와 집쥐의 배설물에 섞여 있던 한타 바이러스가 사람이 호흡기로 들어와 전염되는 병으로 한국전쟁 당시 한탄강 유역을 중심으로 수천 명의 유엔군에 폭발적으로 발병하여 세계의 이목을 받기도 했다.
□ 국내에서는 유행성 출혈열 예방백신을 개발한 바 있으며 1998년에는 외국과 공동으로 한타 바이러스와 푸말라 바이러스에 의한 유행성 출혈열을 동시에 예방할 수 있는 혼합백신을 개발하였다는 보고도 있었다.
□ 우리에게는 이미 잘 알려진 한타 바이러스이지만 미주대륙에서 증상을 달리한 병이 유행하면서 발병과정, 진단기술, 역학, 치료와 예방, 그리고 특히 아이들의 심폐기관 감염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 저자
- Ferres, M; Vial, P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16(1)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PEDIATRIC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70~75
- 분석자
- 강*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