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현미경법과 기생충(Microscopy and the helminth parasite)

전문가 제언
□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기생생물을 연구하는 방법은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져 왔으며, 이 방법은 복잡 다양한 기생물의 삶과 숙주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현재는 지속적인 현미경법의 발달로 인하여 그들의 기능적인 관계 및 표피의 구조분석, 그리고 숙주의 면역체계에 대응하는 원리까지 분석해내고 있다.

□ 본 연구는 촌충, 편충, 흡충류(디스토마) 등의 각종 복잡 다양한 기생생물에 대하여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그리고 CSLM(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y) 방법을 적용하여 기생충의 기능학적, 형태학적 분류와 그 구조 연구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는 형태학, 생화학, 생물학, 그리고 생리학 등 여러 분야의 연구에 보다 통합적이고 획기적인 정보 제공을 가능하게 해 준다.

□ 현재 전자현미경의 이론적인 분해능의 한계로 잠시 연구개발이 더디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생충의 기능 및 구조분석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연구개발이 되고 있다. 위에서 소개된 선진 연구와는 달리, 현재 국내 기술은 이와 같은 고분해능의 현미경의 연구개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정부차원에서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 기생충의 세밀한 분석을 위한 전자 현미경법은 단지 기생충의 기능적 원리 및 구조만을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형광 단백질 및 DNA 해독을 가능하게 하며, 기생충의 박멸을 위한 약물의 개발과 신경펩타이드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 특히 형광 단백질 및 DNA 해독은 살아있는 소 생명체의 유전자 구조 및 행동을 밝혀내는데 큰 역할을 하며, 이는 현재 국내에서 관심을 가지고서 지원을 추진 중인 BT(Bio Technology)에 기여하는 바가 크고, NT(Nano Technology)를 기반기술로 하므로 기술개발이 추진되어져야 한다.
저자
Halton, DW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기초과학
연도
2004
권(호)
35(5)
잡지명
Micron
과학기술
표준분류
기초과학
페이지
361~390
분석자
조*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