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동맥질환과 염증진단 지표물(Inflammatory markers and coronary artery disease)
- 전문가 제언
-
□ 과거 20여년에 걸쳐서 죽상동맥 경화증의 죽상 괴에 대한 불안정성을 알기위한 여러 가지 생체 지표물이 평가되었다. 새로운 평가지표는 불안정한 협심증 혹은 급성 심근경색증을 가진 환자의 확인을 위한 진단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험성이 높은 환자를 확인 하여 향후의 위험성을 예방 및 치료하는 수단으로도 가치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염증과 관련된 지표의 사용은 향후의 심장관련 질환이 어떠한 정도의 위험상태에 있다는 것을 정확히 판단하는데 도움을 준다.
□ 예로서 C-반응성 단백은 심근 세포 손상에 대한 우수한 예측가치가 있으며 cardiac 트로포닌은 심장 근세포 괴사에 매우 선택적 지표물이고 MPO는 강력한 죽상형성 특성을 가진 hemoprotein으로서 LDL콜레스테롤을 산화시키며 metalloproteinase를 활성화시켜 죽상관상 동맥경화증에서 죽상 괴의 표면을 파괴하여 불안정성을 증폭시킨다. 따라서 MPO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의 경우 불량한 예후를 예견하는 강력한 지표물이다. IL-10 수준이 감소한다는 것은 급성관상동맥증후군 진행을 촉진하는 죽상 괴의 불안정성이 증가한다는 지표물임은 물론, 죽상 괴 불안정에 의하여 야기된 급성 허혈성 증상 발병의 예후가 불량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혈장의 PAPP-A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중요한 지표물이며 MPO, PAPP-A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을 가진 환자의 단기적인 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가치가있다.
□ 또한 심장관련 질환은 평소의 신체적 느낌으로는 자신의 이상증을 스스로 인지 할 수 없는 무서운 침묵의 질병이므로 그 위험성을 예측하고 치료방법을 선정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물에 대한 더욱 심도 있는 연구의 중요성도 내재하고 있다. 현재 지표물을 분석하기 위한 검체 채취시 주로 혈액을 채혈하고 있으나 향후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시료채취가 용이한 뇨 등에서 잘환과 관련성 있는 미량의 대사산물 측정법 개발 및 위험성 평가연구도 많은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Fichtlscherer, S; Heeschen, C; Zeiher, AM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4(2)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Pharmac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24~131
- 분석자
- 윤*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