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화적 스트레스와 죽상동맥 경화증(Oxidant stress and atherosclerosis)
- 전문가 제언
-
□ 활성형 산소종이 과다하게 생성되어 산화적인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것은 내피세포의 기능부전을 야기하고 죽상동맥 경화증의 시작과 진행을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내피세포의 산화질소 합성효소에서 생성되는 산화질소는 혈관 보호 작용을 하는 물질로서 중요하며, 혈관의 NAD(P)H oxidase에 의하여 생성되는 활성산소는 혈관세포의 신호를 전달하는 분자로서의 중요성도 있다. 최근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죽상동맥 경화증에서 내피세포의 산화질소 합성효소 기능부전은 산화질소보다는 superoxide anions를 생성하며 혈관의 과도한 NAD(P)H oxidase 발현은 죽상 경화증의 진행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 그러나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 세포는 복잡한 방어 체계를 갖고 있으며, 여기에는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등이 중요한 방어 작용을 수행한다. 또한 효소가 아닌 저분자 물질로 비타민C, pyruvate, flavonoids, carotenoids, glutathione 등은 체내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인의 체내대사는 자신의 의지대로 조절할 수 없을 지라도 비효소성 저분자 물질은 본인의 노력에 따라서 합성제품 혹은 목적하는 성분이 풍부한 음식물로 섭취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체내 대사 작용 조절 기능을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죽상 경화증은 오랜 세월을 거친 후 축적되는 증상이므로 생활습관의 건전성에 대한 중요성이 제기된다.
□ 또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항산화제를 심혈관 질환에 사용한 전향성 추적 임상 결과를 보면 대부분은 임상적인 효과를 도출하지 못하였다. 여기서 산화적스트레스에 관련된 원인 및 효능 향상에 관한 연구는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연구 및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Yokoyama, M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4(2)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Pharmac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10~115
- 분석자
- 윤*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