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담체로서의 키토산 미소구체(Chitosan microspheres as a potential carrier for drugs)
- 전문가 제언
-
□ 약물전달시스템은 기존 의약품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능 및 효과를 극대화시켜 필요한 양의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설계한 제형이다.
□ 키토산은 키틴을 탈 아세틸화한 아미노당이다.
□ 나노 미소구체용으로 사용되는 고분자 중 키토산은 약물의 담체 기능뿐만 아니라 키틴, 키토산 추출물이 암세포의 전이 억제 등 강한 항암효과가 있는 것이 Tohoku 약학대학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쥐의 피하에 암세포를 이식 후 키틴, 키토산 추출물을 정맥 투여하니 3주간 후 비투여군에 비해 폐전이가 저지되고 비상의 임파구 T세포가 활성화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 약물을 코어 성분으로 함유하고 벽재를 생분해성 소재로 하는 나노 입자에 특정 분자를 인식하는 리간드를 결합하여 종양이나 염증조직 부위에 표적 도달할 수 있는 타겟팅 특성의 DDS 제형으로 이용할 수 있다.
□ 코어 물질을 여러 가지 마이크로캡슐 방법으로 입자화 하는데 벽재는 고분자를 사용한다. 벽재 형성은 계면중합법, 약물과 고분자계 벽재 성분과 물로 구성된 다중 에멀전의 용매증발법, 코아세르베이션법 등으로 입자화 한 것을 인체 점막에 점착성이 좋은 키토산이나 히알루론산과 같은 글루코사민계 다당류로 피복하면 단백질 흡착방지 작용을 하며 다당류 표면의 풍부한 반응성기에 리간드를 결합하여 특정 부위를 타겟팅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생체 접착성이 있는 키토산의 나노 입자에 인슐린을 함유시킨 제제는 쥐에 경구투여 시 in vivo 방출성이 능동적이며 인슐린-키토산 용액보다 장내 인슐린 흡수량이 크게 개선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 저자
- Sinha, VR; Singla, AK; Wadhawan, S; Kaushik, R; Kumria, R; Bansal, K; Dhawan, S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274(1-2)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33
- 분석자
- 고*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