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죽상경화증의 염증과 시클로옥시게나제-2(Cyclooxygenase-2 and inflammation in atherosclerosis)

전문가 제언
□ Eicosanoids로서 cyclooxygenase(COX) 생산량 조절은 혈소판 응집과 국소적인 염증반응을 수반하는 혈전증 및 죽상경화증 발생을 조정할 수 있다. 활성형 단핵세포 및 대식세포(macrophage)에서 발현되는 COX-2는 염증 발생의 핵심 중재자이므로, COX-2 발현을 억제하면 죽상 경화 병변 형성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실험동물에서 COX-2의 선택적 억제제를 사용하면 초기 죽상 경화 병변 형성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대식세포 COX-2는 산화된 저밀도 지단백질(LDL)에 의하여 하향 조절되고 liver X receptors는 콜레스테롤의 항상성 유지 및 염증 발생 경로를 차단하는 상호 공동작용을 수행한다. 따라서 죽상경화증과 관련하여 대식세포 COX-2의 영향은 상당히 진행된 병변에서는 서로 상쇄된다.

□ 아스피린, 인도메타신 등의 비선택적 COX-2 저해제는 혈소판에서 TXA2 생산을 억제하여 혈소판 응집을 감소시켜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를 발휘하며 심근경색증을 완화시킨다. 그리고 COX-2 저해제로서 rofecoxib 등을 투여하면 혈소판에서 TXA2 생산에 영향을 주지 않고 COX-2를 선택적이고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인정되었으며, 대동맥의 초기 죽상형 병변 면적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환자에게 COX-2 저해제 투여시 다른 심장질환 이상증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한편으로는 혈소판 TXA2와 내피세포의 prostacyclin 간의 균형성을 파괴하여 혈전성 심장질환을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상호간의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대식세포에서 염증성 반응과 지방 항상성에 관여하는 핵수용체(nuclear receptors)로서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PPAR)γ 및 liver X receptors(LXRs) α 및 β는 염증반응을 하향 조절, 전구염증성 유전자 발현 억제 및 COX-2 발현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들이 죽상경화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더 많은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저자
Linton, MF; Fazio, S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4(2)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Pharmac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16~123
분석자
윤*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