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피부암 예방을 위한 전략(Strategies for skin cancer prevention)

전문가 제언
□ 피부는 표피, 진피, 그 밑에 피하조직으로 나뉘며 표피는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진피도 유두층과 망사층, 유두하층으로 여러 가지 섬유가 교착되고 혈관, 신경, 모낭, 지선, 한선, 모근 등의 조직이 함께 자리 잡고 있다. 이들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가 종양을 일으키는 경우는 다른 조직에 비해 흔하다.

□ 피부암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빈도, 증상, 병세에 많은 차이를 갖고 있다. 대표적인 피부암으로 흑색종 편평상피암, 피부암전구증, 표피내암 등을 들 수 있다.

□ 피부암은 피부의 색깔과 인종 그리고 자외선의 노출에 따라 다르다. 최근 여러 나라에서 여가 시간과 야외 활동의 증가로 피부암이 중요한 건강문제 중의 하나로 야기되고 있다.

□ 피부암의 발생은 화학 물질을 비롯 다른 원인도 있지만 자외선이 주 원인으로 사람의 유전적인 특성과 내병성에 관계가 있다. 그래서 피부암의 일차적인 예방은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인데 광선을 피하고 자외선 차단제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 피부암도 다른 암과 같이 전이되어 인체의 다른 조직으로 옮겨 악성의 종양이 되기도 한다. 멜라닌 세포에서 유래하는 흑색조이 피부 외에 눈, 상부 호흡기, 위장관, 또 비뇨생식기에서도 발생한다.

□ 암을 초기에 발견해서 치료하는 방법에 진전을 보이고 있으며 흑색종의 경우 초기에 진단하여 암의 크기가 1.5mm 이하인 경우 수술하면 90%는 궤양으로 변하지 않는다고 보고되고 있다.

□ 분자 및 세포수준의 연구를 통해 피부암에 대한 여러 단계의 진전 과정을 이해하고 위험성이 높은 집단을 중심으로 초기의 진단과 화학적인 예방을 통해 예방과 치료를 동시에 수행하고자 하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저자
Harris, RB; Alberts, DS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43(4)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DERMAT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43~251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