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사멸조절에, 식물의 생존과 발육(Controlled cell death, plant survival and development)
- 전문가 제언
-
□ PCD과정은 식물에서 다양한 중요한 기능들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관상요소의 분화과정, 노화 과정, HR 세포사멸 과정 등에 대해 중점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PCD 신호전달에 있어서 돌연변이나 유전자 도입을 통한 연구는 그 효과들이 직접적인 것인지를 가려내는 과정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 다양한 식물호르몬들, 막채널, 지질 대사산물이 PCD의 조절자로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NADPH 산화제와 관련되어 발생하는 활성산소는 중요한 세포사멸 신호로 작용한다.
□ 식물에서만 발견되는 PCD조절자로서 LSD1과 MLO가 최근에 보고되었으며 그 기능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 액포 파괴를 조절하는 경로에 대한 연구, CLP의 정체를 찾아내는 연구, 그리고 BI-1 관련 단백질들의 기능에 대한 연구들이 식물에서의 PCD 경로 조절에 대한 많은 의문들을 해결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 이와 관련하여 애기장대의 유전체가 모두 알려져 있으며 대량의 삽입돌연변이체들이 만들어졌다. 따라서 다양한 유전학적 분석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세포사멸 경로의 구성요소들을 찾아내는 것이 무척 용이해졌다. 이와 동시에 효율적인 유전자 억제 시스템 또한 최근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각 유전자들의 기능 분석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관심 있는 유전자에 대한 삽입돌연변이체들은 미국의 ABRC stock center로부터 얻을 수 있고 식물의 유전자 억제 시스템은 Construct design for efficient, effective and high-throughput gene silencing in plants, The plant journal, (2001)을 참고하면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저자
- Lam, 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5(4)
- 잡지명
- NATURE REVIEWS MOLECULAR CELL 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05~315
- 분석자
- 황*룡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