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SSP Z-score 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노말 데이터베이스(Study of the Normal Database That Affects 3D-SSP Z-score Mapping)
- 전문가 제언
-
□ 화상재구성법에서의 비교검토는 FBP법에 비하여 OSEM법의 Z-score가 크고, 3D-SSP해석에서는 유효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 Butter worth filter의 단락주파수는 비교적 낮은 동일치의 조합이 적당하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신호데이터에 포함된 고주파성분을 보다 많은 화상재구성 때에 컽(cut)하여 각 피그 셀에 포함되는 잡음성분(noise)를 적게 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 또, 단락주파수를 낮게 한 데이터베이스에서는 Z-score가 크게 되는 것으로서도 Butter worth filter의 단락주파수는 비교적 낮은 치의 조합이 적당하다고 생각된다. 흡수보정처리에서는 원래, 투영단층정리가 물체 내에서 Υ선의 흡수나 산란(散亂)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서 가정하고 있는 것이므로, PNDB와 신호데이터의 흡수보정처리가 같으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흡수보정의 조합이 다르면, 흡수보정처리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카운트의 차이가, 위양성(僞陽性)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상의 것에 의해, 신호데이터(피험자 데이터)의 화상재구성조건은 데이터베이스의 화상재구성조건에 맞추어지는 것을 권장 하고자 한다.
□ 같은 신호데이터에서도 장치가 다르면 Z-score 지도에 차이를 발생시킨다. 이것은 PNDB의 표준편차(각 피그 셀 뇌표 추출)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다른 장치의 PNDB를 사용하여 해석하면, 규정화 부위에 따라서 위양성이 많이 추출되는 것도, PNDB의 표준편차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현시점에서는 NDB를 공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장치에 따른 PNDB의 표준편차가 다르게 되는 것은 수치모형의 실험결과로부터, 화상재구성 알고리즘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번 모형에서의 결과에 나타난 것과 같이 그대로 임상에 이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앞으로는 이번의 실험결과를 기초로 임상데이터에서도 검토하여, 장치 간에 NDB를 공유하는 방법을 더욱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이상의 결과로 보아 우리나라에서도 핵의학에서의 뇌혈류SPECT(Single Photon Emission CT)의 분야의 관련 장치나 소프트의 개발과 수입에 있어 국가차원의 표준화연구가 조속하게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YASUSHI YAMAMOTO ; MASUO HARAMOTO ; AKIO KOMATSU ; KOUJI UCHID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4
- 권(호)
- 60(3)
- 잡지명
- 일본방사선기술학회잡지(N07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406~414
- 분석자
- 박*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