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디지털 매모그러피의 현상과 그의 화상처리(Current Status and Image Processing of Digital Mammography)

전문가 제언
□ 의학용 화상에 디지털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약 20년 전 Fuji Computed Radiography 등장 이래 디지털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근래flat panel detector가 임상에 도입되어 디지털화는 새로운 전개를 맞고 있다. 매모그러피(mammography-유방 뢴트겐 조영법)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 지금 일본의 매모그러피는 스크린/필름(SFM)이 주류가 되고 있으며, 디지털 기준을 만들기 위해 2001년에 디지털 매모그러피 평가기준검토소위원회가 발족했고, 2002년 7월에는 디지털 매모그러피에 관한 긴급권고로 잠정평가기준이 만들어 졌으며, 금년 중 평가기준이 나올 것으로 본다. 미국에서는 작년부터 디지털 매모그러피 평가로서 DMIST (Digital Mammography Imaging Screeing Trial)가 시행되고 있다.

□ 전자의료기기는 ①의료영상진단기, ②생체신호계측기, ③분석기, ④치료기, ⑤재활기기, ⑥인공장기, ⑦의료정보시스템 등 여러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으며 이중 의료영상진단기는 전자의료기기중 무려 45%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MEDIC 자료에 의하면 1997년도 세계전자의료기 시장규모는 262억달러이고 연평균 6.2% 성장으로 2010년에는 540억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 되고 있다.

□ 전자의료기기산업은 미국, 유럽, 일본이 세계시장의 85%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단 1%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 독점형 산업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의료기기 분야는 전자부품이나 반도체 산업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으로 21세기 10대전략산업 중 하나이다.

□ 이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정부, 연구소, 학교, 업체, 병원이 컨소시엄 형태로 선택된 과제에 대하여 관련 부문에 기초연구수준을 높이고 집중적으로 투자해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연구와 투자는 인류 건강에 공헌함은 물론이거니와 시장성으로 봐서도 사업성이 있는 분야라고 생각된다.
저자
HIROKO NISHID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4
권(호)
60(3)
잡지명
일본방사선기술학회잡지(N076)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362~367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