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플랜트 자산관리를 지원하는 사전 보수관리기술

전문가 제언
□ 구미에는 사전예측 보수관리 시스템이 PAM(플랜트 자산관리)으로 진화했다. 그 중요기술은 설비진단기술(CDT)이다. 그중요성과 유효성이 보수관리현장에 재인식 되고, 원격감시와 원격진단이라는 IT시대의 치장을 하고 재등장하고 있다. 주로 PAM을 지원하는 진단기술을 중심에 PAM시대 의 보수관리의 자세를 생각해본다.

□ 고장을 경험하면 보수관리 담당자는 대단히 심려하게 된다. 제작사의 기술자와 협의해서 대책시공의 관리, 기술 자료의 취급을 통해서 노하우를 얻는 것이 된다. 고도 성장기의 후반이후에 건설된 기기는 기본적으로 트러블이 적고, 담당자에 따라서는 큰 트러블 경험이 없다고 하는 것도 작지 않다. 고장 시에는 노련한 보수관리원과 상사에게 가르침을 청하는 것도 많지만, 이것도 없다면 보수관리 경험이 축적되지 않는다.

□ 부품의 가공정도가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다. 어떤 기계의 부품을 교환 할 때에 진동이 발생해서 조사해보면 부품 치수와 도면 치수 내에는 들어가는 것의 공차의 적산이 좋지 않는 경우에는 진동발생이 생길가능성이 있다는 견해에 달한 것도 있다. 고장경험은 재산이 된다.

□ 플랜트 자산관리는, 설비진단을 하고 보수관리 매뉴얼을 잘 작성해서, 담당자가 확정한 보수관리 매뉴얼에 따라 점검과 정비를 해서, 플랜트 설비유지비를 최소화 시키고, 고장발생 등을 최소화하고, 가동효율을 극대화 하는 것이 사전예측 보수관리기술이다.
저자
Yoshiki Kawab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4
권(호)
36(4)
잡지명
Plant engineer(N269)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19~24
분석자
남*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