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설비자산관리시스템 도입상황
- 전문가 제언
-
□ 설비총합효율(OEE)를 높이는 것은 공장설비 관리상 가장 대표적인 지표가 된다. 변수는 성능가동율과 제품의 양품률, 그리고 시간 가동률이 되는데, 이중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가동시간을 최대한으로 연장시키는 것이 최대의 목표가 된다.
□ 협력적 제조 관리모델(CMM)에 대한 내용을 보면, 기업 축으로 자동화 및 기업자원관리에 대한 정보시스템과 가치사슬 축인 제품의 제조에 관한 것, 그리고 신제품의 개발설계에서 서비스까지 라이프사이클 전체를 다루는 라이프사이클 축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보수 관리 면에서도 단위설비 보수에서 전체로, 그리고 플랜트에서 기업전체로 관리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즉 플랜트 자산관리에서 단번에 기업자산관리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전산화 기술이 발전되었을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도 많이 개발되어 이용을 기다리고 있는 실정이다.
□ 초기 보수에서 마모 보수에 이르기까지 생산을 중단함이 없이 보수를 원만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은 오직 잘 기록된 보수 일지와 이에 대한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하여 둔 자료를 활용하는 것을 필요로 하며, 전산을 통한 정보의 공유로 효과를 최대화 하여야 할 것이며, 이를 더욱 개선하기 위한 꾸준한 예지보수 계획이 수립되어야 하고, 정직하게 수행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국내의 대부분의 제조업에서 표준 사용 매뉴얼이 구비되어 있고, 이에 수반하여 예방보수 계획이 수립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를 실제로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지를 자체 감사를 통하여 점검할 필요가 있다. 실천여부를 일차적으로 타부서로 하여금 한번 점검 하도록 하고, 실천하는 과정에 문제가 없는지를 객관적으로 한번 체크하여 볼 필요가 있다. 만일 잘되고 있을 경우, 보다 높은 목표를 설정하여 실행해 가야한다. 사실 보수 작업에 대한 관심을 갖는 정도가 소홀히 되는 경우가 너무나 많기 때문에 강조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점차적으로 상위의 관리 기법을 도입하는 순서를 밟아야 한다.
- 저자
- Shigeo Kuroi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4
- 권(호)
- 36(4)
- 잡지명
- Plant engineer(N26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3~18
- 분석자
- 마*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