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설비노후화 시대와 PAM에 의한 비즈니스 사고의 전환

전문가 제언
□ 일반적으로 설비노후에 대한 시기를 정하는 것은 처음 설치할 때에 대략 짐작은 할 수 있지만 장치산업의 경우 20~30년이 되면 전면 보수를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작업물량이 많거나 대체 설비가 없을 경우 그 시기를 정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전면 보수대신 부분보수로 대응하는 경우도 있다

□ 지금까지 많이 활용하고 있는 욕조곡선 이론에 치우치지 않고 설비 상태를 일상적으로 관찰하거나 원격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기보수가 아닌 시점에라도 설비상태를 감시하여 그 상태에 따라 사전정비 방식이 장려 되고 있다. 특히 예지보수방식에 의한 새로운 보수방식이 실시되면서 재산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 생산을 계속하면서 보수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고 생산일수가 많이 되도록 하여, 생산성 및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보수비용을 최소화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보수에 대한 실적기록과 함께 설비에 대한 애정과 깊은 관심 하에 보수의 원인 제공에 대한 철저한 분석에 의한 대책이 분명하게 수립되어야 한다. 아주 평범한 조치이지만 일일점검이 철저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전제 조건이 된다.

□ 최근에는 플랜트자산관리(PAM) 측면에서 설비의 운휴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설비 상태감시 기술이 발전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백분 활용하여 경영실적에 도움이 되는 보수업무가 추진되어야 한다는 사고로 전환되어야 한다.
저자
Hiroshi Shimic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4
권(호)
36(4)
잡지명
Plant engineer(N269)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25~29
분석자
마*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