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승차자 보호를 위한 바이오메커닉스 연구방안(Biomechanics/Accident analysis)
- 전문가 제언
-
□ 자동차 승차자를 보호하기 위한 바이오메카닉스(biomechanics) 연구의 목적은 충격 등에 의해 발생하는 인체의 상해 혹은 생명의 위험성을 방호 내지 보호하는 데에 있다. 인체상해의 위험성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서는 인체의 상해발생 메커니즘을 해명하고 충격에 의한 인체조직과 기능의 변화인 인체상해의 발생한계 레벨을 알고, 또한 인체에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와 충격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한 보호재료와 구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 인체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방호 내지 보호장치의 개발을 위해서는 인체의 충격반응의 연구, 인체상해의 발생 메커니즘과 그 한계도출, 그리고 방호장치 등에 의해 초래되는 보호평가 툴로서의 “인체 모델”이 필요한데, 여기에는 지원자, 사체, 동물, 인체모형, 수학 모델 등 이 있다.
□ 생체조직과 기관(器官)의 역학특성을 해명함과 동시에 실제의 자동차 충돌사고 시 인체움직임의 해명과 인체상해발생 예측수법의 확립이 최근의 주요과제이다. 이를 위해 첫째, 자동차 안전성향상의 바이오메카닉스 연구, 둘째, 인체상해의 포착방법 습득, 셋째, 인체상해도의 스케일링(scaling), 넷째, 후유장해도의 스케일링, 다섯째, 인체성해와 충격반응, 여섯째, 연령 혹은 성별에 의한 인체충격내성의 차이, 일곱째, 상해평가 툴로서의 인체 모델 현상과 연구방안의 강구 등이 필요하다.
□ 일본에서는 자동차 충돌안전의 효과적인 대책이 주효하여 자동차 사고에서 사망자수는 감소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사고건수, 부상자수, 더욱이 후유장해자수는 증가경향에 있어 예측불허의 상황이 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 사고에서 충돌과 인체상해발생의 프로세스 규명은 대단히 중요한 과제이다. 앞으로도 자동차 안전기술의 고도화와 다양화는 IT 기술의 진전과 함께 더욱 더 발전되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Koshiro ON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26(3)
- 잡지명
- 자동차연구(L06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19~125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