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의료복지용 로봇기술 개발현황
- 전문가 제언
-
□ 20세기 로봇산업기술의 주종은 역시 산업용이다. 자동차조립․반도체디바이스가공공정과 같은 다량․일괄생산 공정에는 로봇에 의한 작업이 주축을 이룬지 오래다. 그러나 21세기 유망산업으로 예측되는 로봇산업은 산업용이 정체되는 반면, 의료복지용, 가사지원용, 인간공존 휴머노이드 등과 같은 산업용 이외의 로봇수요에 의해 새로운 로봇기술패러다임이 전개될 전망이다.
□ 세계정상의 로봇산업과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일본의 산학연은 휴머노이드로봇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일본정부(경제산업성)는 연간 약 5,000~6,000억엔 수준을 지속하고 있는 산업용 로봇수요시장의 성숙기를 돌파하고 미래의 새로운 수요로봇분야인 휴머노이드 로봇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로봇산업계를 총동원하여「인간협조공존형 로봇시스템 연구개발사업」(1998~2002년)을 추진시킨 바 있다. 이 자료에서 소개된 의료복지용 로봇 역시 일본정부가 NEDO를 통해 지원한 프로젝트결과이다.
□ 선진국에서는 요즈음 저침습수술 지원용으로 각종 의료용 로봇/머니퓰레이터가 개발 이용되고 있다. 또한 고령화시대에 대응하여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의 거동지원용 로봇이 개발 응용되고 있다. 이 자료는 Hitachi사가 정부(NEDO)의 복지프로그램에 따라 개발하고 있는 수술지원용 로봇/마이크로머니퓰레이터와 보행훈련기 및 보행주행기의 개발현황에 대한 내용으로서 세계정상수준 위치에 있는 일본의 로봇기술이 의료복지 분야로 확산되고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시대로 진입하고 있는 실례를 보여준다.
□ 우리나라도 이러한 로봇기술개발추세에 따라 지능형 로봇개발 프로젝트를 국책사업으로 추진 중에 있다. 여기서 소개한 의료복지용 로봇과 보행지원용 자동장치 등은 미래수요가 분명한 로봇기술로서 앞으로 정부의 로봇기술 프로젝트를 통한 지원확대가 요구된다.
- 저자
- SUG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157)
- 잡지명
- 로봇(E19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24~29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