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초정밀 가공기의 과제와 대응

전문가 제언
□ 일본의 TOYODA KOUKI사는 촬영기기, 음향기기, 의료기기 등에 많이 쓰이고 있는 고성능 렌즈를 가공하기 위하여, 선형 전동기를 채용한 초정밀 자유곡면 가공기계를 개발하였고, 본 기계의 적용범위의 확대를 위하여 옵션으로 주변기기, 공구 등을 개발하고 있다.

□ 초정밀 가공기계를 개발함에 있어 해결해야 할 문제로는, 슬라이드 테이블 이송시의 진직도의 확보이다. 보통은 리드 스크루나 볼 스크루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으나 이의 이송 시스템은 10nm 정도 이상의 오차를 가지고 있으므로 초정밀기로서는 만족할 수 없다. 그러나 흡인력을 발생하지 않는 선형전동기를 사용하므로 오차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었다는 사례와, 그밖에 회전정도의 향상 사례, 열변위에 대한 대책안과, 온 머신 측정시스템의 도입, 날 끝 선단 R이 0.1μm의 단결정 다이아몬드 바이트를 개발 절삭에 활용하는 등, 가공기술의 나노 테크놀로지를 실현시킨 사례들이라 하겠다.

□ 슬라이드 테이블이나 주축 등, 운동요소의 정밀도를 추구하고, 또 툴링 장치, 공구위치 검출장치, 형상측정기를 온 머신화함으로 작업효율이 좋은 기계를 개발하고 있는 도중에 그것을 상회하는 수준의 초정밀 요소기술, 측정기술 및 가공기술을 요망하고 있는 예가 많다. 가공정도에서 요구하는 단위는 분자크기의 수준으로 나노, 더 나아가 펨토(femto)와 테라(tera)의 단위가 등장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현재의 가공법의 기술수준을 높이는 것만이 아니라, 더 한 층 높은 수준의 새로운 가공법을 개발해 가야 할 것이다. 고정밀도화를 위하여 nm, Å 수준의 정확한 측정기술이 필요하고, nm, Å 수준의 운동정밀도를 갖는 요소기술이 필요하게 된다는 내용의 자료이며, 회전운동의 초정밀도를 유지확보하기 위하여 회전축지지 베어링에 액압 베어링의 활용사례는 새로운 기술이라 판단된다.
저자
Katsuhiko TAKEUCHI, Motohiro TANAK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48(4)
잡지명
기계와 공구(A060)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54~58
분석자
정*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