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조각 평면저항기 기술(Technical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 of Integrated Passive Printed Circuit Board : NiP Planar Resistor Technology)

전문가 제언
□ 저항기는 전기회로에 접속하여 전기저항을 얻기 위한 기구나 부품에 사용되는데 계측용에는 표준저항기, 휘트스톤브리지의 각 변에 사용하는 저항기, 전압계나 전력계 등에 내장되어 있는 저항기 등이 있다. 저항기는 내구성이 강하고 온도에 따른 저항 값의 변화가 적어야 한다. 통신기기용으로는 최근에 사용되는 집적회로용으로 박막저항기가 있다. 이것은 유리 또는 자기 등의 절연물 표면에 증착시키거나 구워 붙여 박막을 만드는 것으로 두께가 μm 단위까지 있다.

□ 박막저항은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고정저항기를 직렬로 연결하여 접촉점에 단자를 내어 단자 위를 이동할 수 있는 접촉자를 이용하여 저항을 바꿀 수도 있다. 대 전류 제어용 액체저항기는 탄산나트륨 용액에 철이나 구리의 전극을 달아서 전극이 잠기는 정도에 따라 전기저항을 바꿀 수 있다. 이런 전극을 3개 설치하면 3상회로의 가변저항기로 대형 3상 교류전동기 속도제어에 이용되고 있다.

□ 평면저항기 기술은 수동디바이스의 증가와 소형화 경량화에 따라 기판 설계에 새로운 칩 저항기로 실현 가능한 대체 기술이다. 다양한 용도로 오랫동안 장기간 프린트 배선 판 제작회사에서 회로설계에 위험부담이 낮고 처리가 용이한 기술로 선택되어 왔다. 여기서는 이러한 평판저항기에 대해서 설명하고 평판저항기 기술의 장점과 그 제작과정 및 새로운 패기지 기술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 IC의 개발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회로기판의 밀도가 높아지고 수동 디바이스의 증가는 회로 설계에서 내장부품을 이용하도록 유도되고 있다. 기판의 중량을 줄이고 공간 사용의 절약이 한층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와이어리스용에서는 더욱 소형화와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평면저항기 기술이 더욱 활용될 것이며 이에 대한 연구가 우리나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저자
Bruce P. Mahler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55(2)
잡지명
표면기술 (C135)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25~129
분석자
오*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