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구조용 목질건재의 현상과 과제(The State of the Arts on Current Timber Structures)

전문가 제언
□ 국내야산에 육성된 잡목을 이용하는 것은 지구환경보전성과 지역공생의 차원에서 바람직한 것이다. 외국산의 목재를 원거리에서부터 수송에너지를 사용하여 운반하는 것은 국가전체의 차원에서 불합리하다고 볼 수 있다. “구조용 목질건재의 현상과 과제”에서는 일본고유의 여러 가지 삼목을 자체적으로 고급화하여 구조용 목질건재화 작업을 소개하였다. 국내에서도 잡목을 구조용 재료로 가공하기 위한 시도와 기술적인 과제로서 추진되어야 하며 국가주관의 정책적인 배려가 있어야 한다.

□ 국가적인 차원에서, 성장이 빠르고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높은 조림목으로서 우수한 수종을 선정하여 가꾸어야 한다. 잡목은 강도특성이 낮아 구조용으로서 사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부가가치가 높은 가공기술을 개발하여야 한다. 특히 대량의 수분의 함유되어 있는 잡목은 자연건조 시에는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 때문에 인공적인 가열건조기술의 확립이 필요하다.

□ 일본에서는 삼목을 구조용 목질재료로 가공하기 위한 시도와 기술적인 과제로 태형 집성재, 중소단면 집성재, 이수종복합 집성재, 합판, 교차합판(Cross ply board), 단판적측재(LVL), 원통 LVL, 및 Strand계 적층재에 관하여 소개하였다. 또한 폐기물을 가루로 하여 재이용할 뿐만 아니라, 적당한 크기로 강도특성을 유지한 그대로의 원소로 분해한 후에 그것을 재구성하기 위한 기술도 큰 과제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한 추적조사와 국내 자체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향후에는 일반적인 제품보다는 고도의 품질을 가진 구조용 목질건재의 개발연구와 품질보증기술의 개발이 필수적이며, 간단하고 정밀한 비파괴검사기와 성능예측모델의 개발 및 접착제품의 장기적인 내구성의 예측기술의 개발이라고 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추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Tomoyuki HAYAS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53(3)
잡지명
재료(A054)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45~350
분석자
유*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