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밀도 기록을 위한 위치결정기술(Head Positioning System for High Areal Density Recording)
- 전문가 제언
-
□ 근년, 정보저장기기에 요구되는 경향은 소프트웨어의 용량이 방대해지고, 게임이나 영화 등 큰 용량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저장용량의 대용량화와 기록재생 속도의 고속화 및 경박단소화(輕薄短小化)로 되는 추세이다.
○ 자기기록기술(磁氣記錄技術)에 바탕을 둔 정보저장장치의 대표적인 HDD는 높은 기록밀도, 신속한 데이터 전송속도, 빠른 접근시간 및 낮은 가격의 이점을 가지고 당분간은 계속 발전될 것으로 판단된다.
○ 최근, HDD는 기록밀도의 비약적인 증가에 힘입어 기존의 PC로부터 대용량화가 필요한 서버용 저장장치에 응용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PVR(personal video recorder), 게임기기와 같은 AV정보가전분야 및 초소형 휴대 저장장치 분야로 응용범위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 국내의 경우, 정보저장 분야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정보통신부 선도기반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삼성전자종합기술원은 2004년 말부터 휴대형 초소형 자기기록 정보저장장치를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 GMR 헤드를 이용한 수직기록 방식을 개발하여 세계적 수준의 선기록밀도(750kBPI)를 발표하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한편, KIST, KAIST, 고려대에서는 자기기록 헤드/매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또한 연세대, 한양대 등에서는 정보저장기기 관련 고정밀기기 및 서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향후, 정보저장기기의 발전방향은 하드디스크의 용량과 전송속도 외에도 저소음이나 낮은 전력소모, 소형화, 저발열 등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HDD가 계속적으로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 저자
- T. Yamaguc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28(3)
- 잡지명
- 일본응용자기학회지(B19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85~192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