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의 이념과 앞으로의 전망
- 전문가 제언
-
□ P2P의 발전과정을 먼저 고찰한다. 1997년경에 인스턴트 메시지인 ICQ(I seek you)가 등장하였다. 일본에서는 브로커리스 모델의 통신 패러다임을 실현하는 SIONet기술에 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때 P2P라는 용어는 아직 없었지만, 사람들은 P2P의 원형이 되는 사고방식을 갖게 되었다.
□ 1998년경에 P2P형 파일교환이 크게 보급되어, P2P 라는 용어 및 개념이 일반인들에게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2000년경에 다시 P2P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일본 NTT에 의하여 SIONet 아키텍처, 범용적인 P2P 기술의 확립 등이 발표되었다. 또한 P2P 컨퍼런스를 시작하려는 많은 기관들이 등장하였으며, P2P 워킹그룹의 표준화활동도 시작되었다.
□ 2002년 이후로는 P2P는 비즈니스를 실현하는데 있어서 기본이 되는 기술로 인정하였으며, P2P 컨퍼런스도 엔지니어링 테크놀로지 컨퍼런스로 명칭을 변경하여 P2P를 핵심으로 한 광범위한 기술을 취급하게 되었다. 그리드 컴퓨팅, 유비쿼터스 컴퓨팅, 애드 혹 네트워크, 센서 네트워크 등 P2P의 이념인 “브로커리스”의 정신을 활용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 P2P를 커뮤니티 활성화의 요소기술, 차세대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등으로 활용하려는 추세이며, 특히 많은 P2P 기술이 발표되고 특허출원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 저자
- HOSHIA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16(3)
- 잡지명
- NTT gijutsu journal(N40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8~12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