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피부계측과 그 평가

전문가 제언
□ 피부의 구조는 표피층, 진피층 및 피하조직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그 기능을 보면 표피층에는 피부보호 및 수분증발을 막는 각질층, 산성 막을 형성하는 투명층, 피부의 건조를 막는 과립층, 림프순환, 피로회복에 관여하는 가시층, 세포 재생 기능을 하는 기저층으로 구성되고, 진피층은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풍부하여 표피에 영양을 공급하고 선유아세포의 활동에 도움을 주며, 피하조직은 모낭과 땀샘이 존재하고 탄력섬유의 다발의 연장이 일어난다.

□ 피부유형을 결정하는 요인은 보습 상태, 피지 분비상태, 피부 각질화의 진행상태, 피부 조직의 상태, 모세혈관 상태, 피부 탄력성, 등을 들 수 있다. 피부문제를 일으키는 요인은 생리적인요인, 심리적인 요인 및 생활요인으로 구분 할 수 있고 생리적 요인은 피지분비, 내분비, 대사활동, 순환계 이상을 들 수 있고 이에 영양결핍과 식습관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심리적인 요인은 스트레스를 들 수 있고, 생활요인은 수면부족, 피로, 다이어트의 이상, 운동부족을 들 수 있다. 또한 잘못된 피부 관리는 화장품, 알칼리 비누 과잉, 잘못된 필링(peeling) 및 트리트먼트에서 온다고도 볼 수 있다.

□ 피부계측기의 활용성은 다양하여 그 종류와 적용분야도 다양한데 근전도 주파수 분석을 이용한 근피로 측정기, 광섬유에 의한 국부 촬영용 체열시스템 등의 의료용 재활기구, 레이저 간섭계 및 분광계를 응용한 정밀피부표면측정기의 개발 및 초음파 이용 피부 관리 치료제 개발 등 을 들 수 있다. 특히 초음파는 인체에 투여 되었을 때 에너지 형태로 변화되며, 초음파의 전형적인 효과인 물리적 효과, 온열효과 및 화학적 효과는 피부의 활성화, 손상된 콜라겐 층 조직을 신선한 조직으로 개선함으로서 피부의 재생에 기여할 수 있다는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 희고 고운피부는 인종마다 약간 다른 관점을 가지기는 하지만 세계화시대가 된 요즈음은 대부분 여성들이 우유 빛의 하얀 피부를 원한다. 기미나 거친 피부는 피부의 노화에서 비롯된다는 점에서 최근 항 노화 기능성식품이나 성분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앞으로 먹는 미용식품의 개발 가능성도 기대해 볼만하다.
저자
Motoji Takahas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24(1)
잡지명
식품가공기술(N346)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6~24
분석자
신*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