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P법에 의한 생우유 및 탈지농축우유의 생균수 신속측정법(Microbial Tests of Foods and Technologies for Sterilization and Preservation (I) : Rapid Measurement for Live Bacterial Count in Raw Milk and Skimmed Concentrated Milk by ATP Method)
- 전문가 제언
-
□ 식품의 미생물 오염에 의한 식중독 사건은 특히 단체급식이나 일반 식당 등에서 여름철에 들어서면서 연례행사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환자만이 음용하는 약제에 대해서는 그 제조공정을 cGMP 규정을 지키도록 의무화하고 있는 반면 모든 사람이 매일 음용해야 하는 식품에 관해서는 아직도 식품회사가 자율적으로 제조공정을 관리하고 있고 집단급식단체나 식당등도 자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식품오염에 대한 위험에 완전히 노출되어 있다. 최근 선진국들은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HACCP제도시행을 법으로 정하고 있다. 앞으로 우리나라도 이 제도의 시행을 법적으로 의무화하여 국민건강의 예방차원에서 하루속히 실시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오늘날 인류건강에 대한 추세는 예방의학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선진국에서는 미생물 오염에 따른 식중독에 있어서도 예방적 측면에서 관리할 목적으로 HACCP제도가 운영되고 있는 것이다. 미생물적인 HACCP시스템의 실시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지원요소가 미생물 검사방법이며 일반적으로 검사방법은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검사방법과 사후관리(병원균에 의한 식중독 등)를 목적으로 하는 검사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 사후관리가 목적인 경우에는 측정시간이 어느 정도 긴(2~3일) 경우에도 가능하지만 예방이 목적인 경우 특히 제조공정 중에는 측정시간이 짧고 방법도 간편해야 한다. 미생물 오염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check system으로는 Breed법이나 표준 평판배지법에 비해 ATP법이 우수하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는데 이 방법 역시 식품유래의 ATP를 제거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 식물이나 동물과 구별될 수 있는 미생물만의 공통성분을 찾을 수 있다면 최근 생물산업분야에서 많이 연구되고 있는 immunoassay방법을 이용하여 이러한 미생물 오염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생균수 측정방법으로 ELISA 키트를 개발할 수도 있으리라 생각한다.
- 저자
- T. TANAK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47(8)
- 잡지명
- 식품공업(A03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5~31
- 분석자
- 백*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