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디아실글리세롤의 어제와 오늘

전문가 제언
□ 비만 특히 내장지방형의 비만은 생활습관병(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의 발증에 깊이 관여하는 것으로부터 내장지방의 저감은 생활습관병의 예방, 치료에 유효하며 식사요법은 운동과 함께 주요한 개선수단의 하나이다. 식사 중의 과잉섭취가 문제로 되는 지질의 양만이 아니고 종류에 관해서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 최근 글리세롤 골격 자체에 착안하여 트리아실글리세롤에서 지방산이 하나 없는 디아실글리세롤을 주성분으로 하는 식용유(Kao社의 Econa)가 개발 시판되고 있다. 디아실 글리세롤은 글리세린의 2 위치에 소화생성물로서 2-모노아실글리세롤을 생성하지 않는다. 그 결과 소장상피 세포내의 트리아실글리세롤을 합성효소계의 기질인 2-모노아실글리세릴이 부족하여 재합성되기 어렵다. 따라서 혈중 중성지방치의 상승이 억제된다.

□ 보통의 기름은 장관에서 양끝의 지방산이 리파제에 의해 분해되어 2-모노아실글리세롤과 지방산의 형태로 소장상피세포내로 흡수된다. 여기에서 다시 트리아실글리세롤(중성지방)로 신속히 합성되어 체내로 옮겨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디아실글리세롤은 지방의 재합성에 의해 거의 이용되지 않는 1-모노아실글리세롤과 지방산으로 분해되므로 소장에서의 중성지방으로의 재합성이 느려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 위와 같은 원리로 비만자의 체내지방 축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식용유 및 각종 가공식품에 디아실글리세롤의 적용 및 비만예방에 대한 효능을 검토할 만하다.
저자
YAMASHIT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46(4)
잡지명
New food industry(A035)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5~32
분석자
고*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