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폐기물계바이오매스의이용: 폴리유산생산을 중심으로한 도시음식물쓰레기의토털리사이클시스템(Current Status of R&D Technologies for Waste Biomass Utilization : Total Recycle System for Municipal Food Waste for Poly-L-Lactic Acid Output)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는 1993~2001년의 국가폐기물처리종합대책(환경부)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와 재활용품을 수집단계에서부터 분리 수거시켜서 재활용품의 재활용 비중을 늘리기 위해 쓰레기종량제를 실시하고 재활용 불가한 것은 소각 및 매립하도록 하고 있다.

□ 음식물 쓰레기는 도시 쓰레기로서 소각장에 보내어져서 소각 처리되고, 일부는 퇴비화 처리하고 있으나, 소각처리 경우 함수율이 높아서 노의 온도가 낮아지므로 보조연료를 투입하는 등 환경부하가 커지고, 퇴비화 하는 경우엔 높은 염분으로 판로 확보가 안 되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 한편, 1998~2002년의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기본계획에 따라서 환경적 및 경제적 편익과 효율성을 제고시킨 자원 재순환형 사회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05년부터는 전체 도시 쓰레기의 23%에 달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는 직 매립을 금지하도록 폐기물관리법이 개정되었다.

□ 음식물 쓰레기의 이용은 현재 콤포스트와 메탄 발효가 있으나, 국내에는 콤포스트 방식을 많이 도입해서 톱밥 발효로 퇴비나 토양개량제로 일부 쓰이고 있으나, 국내 음식물 쓰레기는 염분이 매우 높아서 이의 처리가 큰 문제이며, 퇴비로서의 농가도입도 따라서 영향을 받고 있다.

□ 위에서 소개한 유산발효법은 아직 난관은 있겠으나 실용화될 경우 매우 획기적인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음식물 쓰레기의 생화학적 처리로서 차세대의 새로운 기술개발의 촉진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Kenji Sakai ; Yoshihito Shira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15(2)
잡지명
폐기물학회지(F036)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89~96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