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가축분뇨 처리시설의 현황과 개선(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in Livestock Waste Facilities

전문가 제언
□ 가축의 사육두수 증가로 가축분뇨 처리가 자연 정화능력의 한계를 초과함에 따라 체계적인 처리를 하지 않고 방류할 경우 수질이나 토양 등에 심각한 환경위험을 유발하고 특히 상수원 보호지역에서 부적절한 가축분뇨 처리는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어 환경용량을 고려한 가축분뇨 관리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 현재 가축분뇨의 자원화 및 정화처리를 겨냥한 바이오가스 이용, 퇴비화시설, 건조 및 생물학적 처리 등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고 또한 상당한 신기술이 개발 중에 있거나 실용화되어 운영되고 있다.

□ 일본의 가축분뇨처리 동향과 개선 방향을 문제를 제시하면서 해결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가축분뇨 처리 방안 중 자원화 처리 방법인 바이오매스 플랜트와 퇴비화시설을 중심으로 장단점을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기본적인 해결 방침으로서 가축분뇨를 재생이 가능한 자원이라는 관점에서 해결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 분뇨 처리 방안으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농지의 화학비료를 가축분뇨에서 제조한 퇴비로 일부 대체하는 방안을 적극 장려하면 축산농가의 분뇨처리 부담을 줄이고 화학비료 사용량 감소로 토질 향상과 석유자원의 절약 및 온실화가스 발생 감소 효과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럽에서 많이 이용 되고 있는 바이오매스 플랜트의 가스를 이용한 발전시설 역시 경제성을 보장하도록 조치가 강구되면 친 환경적인 처리방법이 될 수 있고 자발적인 처리 방안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 경우 최종 액비의 산포지역 확보가 전제가 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각 지역별로 농지가 수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분뇨가 발생되도록 적정 가축 사육 두수를 산출하여 제한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어느 경우나 가축사육 농가가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정책의 개발 시행이 가장 바람직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Juzo MATSU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46(4)
잡지명
Journal of water and waste(A046)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97~301
분석자
이*옹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