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에 의한 생태계 영향 : 선박에 의한 비의도적 유입과 일본 해변의 생태 변화(Influence of Trade on Ecosystem : Unintentional Introduction caused by Seaborne Transportation, and Deformation of Japanese Seashore Faunas)
- 전문가 제언
-
□ 외래생물은 황소개구리나 배스 등 외도적인 경로로 들어오기도 하지만, 미국자리공이나 돼지 풀 같이 비의도적 경로로도 유입되고 있어 매스컴을 통하여 익숙해져 있는 것이 사실이다.
□ 더욱이 우리나라 연안의 해양 생태계에도 지중해담치, 뚱뚱이집신고둥, 등 외래해양 생물종의 유입에 의해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어서, 기존 토착 해양종이 생존을 위협받고 있으며, 일부는 아예 재래토착종 으로 오인하는 경우도 있는바, 특히 외래해양 생물종이 유입 번식하면 제어하기가 매우 어렵고 세계적으로도 성공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다고 한다.
□ 마침 국제해사기구(IMO)에서도 밸러스트 수 관리를 위한 처리기준을 마련하여 2003년에 협약안 초안을 만들었고 2004년부터 실시 예정으로서, 선박에 처리설비 장착을 의무화시키고 있다.
□ 호주나 미국 등은 수십 종 이상의 외래해양 생물 종을 지정해서 목록을 만들어 엄격한 유입 관리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육상 및 담수 생태계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 2002년 말 위해생물종이 지정되어 있고, 외래해양생태계 관련한 조사보고사례도 많이 있으나 외래해양생물 종은 지정되어 있지 않은 현실이다.
□ 따라서 우리도 외래해양 생물 종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로 시급히 목록을 지정하여 관리해 나가야 할 것이며,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 대국민 홍보에도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 저자
- Takehiro SA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3(1)
- 잡지명
- 환경정보과학(F09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6~30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