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환경대응형 플라스틱의 최신동향과 과제 : 생분해성 필름 [PALGREEN], [팔실]의 응용전개

전문가 제언
□ 토양 중에서 서서히 분해되어 일정기간 후에는 형태도 없이 사라지며 최종적으로는 세균의 작용으로 물과 탄산가스가 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주목을 받고 있다. 생 분해 플라스틱 대부분은 전분 등 석유 이외의 원료로 제조되므로 소각하여도 연소 칼로리는 일반 플라스틱보다 아주 낮고 환경부하도 아주 낮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사용 중에는 일반 플라스틱 제품과 동등한 기능을 발휘하며, 사용 후에는 유기성 폐기물과 함께 퇴비화 장치에서 미생물로 최종 분해된다.

□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크게 분류하면 미생물계, 화학 합성계 및 천연물질계의 세 유형이 있으며, 경질계의 폴리유산 및 연질계의 폴리부틸석시네이트와 폴리카프로락톤 등을 중심으로 시장이 개척되고 있다.

□ 본문에서는 일본의 한 필름 전업 생산업체가 일본 Mitsui 화학의 폴리유산 수지와 미국 DuPont 사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Biomax를 사용하여 독자적인 기술로 이축 연신 및 무연신 필름을 제조 성형하여 그 물성과 함께 현재 및 앞으로의 용도를 소개하고 있다.

□ 폴리유산은 투명성이 우수하고 안전성이 높고 너무 빨리 분해시킬 필요가 없이 최종적으로 분해되면 좋은 분야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폴리유산은 사탕수수 등의 식물 원료에서 발효시킨 유산을 중합하여 제조한 것으로 지구환경을 배려한 재생 순환형 자원이다.

□ 미국의 Cargill Dow 사가 폴리유산의 생산능력을 14만 톤/년으로 대폭 확장하고 일본의 Toyota와 Mitsui 물산이 인도네시아에 5만 톤 규모의 유산 공장을 설립함에 따라 생분해성 플라스틱 가격은 대폭 하락하고 수요는 급속히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 식물계 생분해성 플라스틱 수요 증대에 대비하여 최종 제품의 성형 가공 기술 개발에도 관심을 가지고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저자
YOSHI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33(3)
잡지명
산업과 환경(L290)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04~108
분석자
이*옹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