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카메라와 화상·신호처리(Color Devices & its Image Processing)
- 전문가 제언
-
□ 네트워크 카메라란 카메라로부터 직접 화상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송출하는 디바이스로서 카메라의 광학계로부터 촬상소자 상에 영상을 투영시켜 촬상소자 및 그 주변회로에서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촬상회로로부터의 신호가 아날로그인 경우에는 DA로 변환된 후에 디지털 영상신호로서 출력된다. 오늘날 네트워크의 보급을 가속시킨 인터넷에 의해 누구든지 손쉽게 정보의 송 · 수신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손쉬운 화상정보의 분배 전송수단으로서 네트워크 카메라가 출시되어 보급 단계에 들어서고 있다.
□ 네트워크 카메라의 내부에는 OSI(Open System Interface)로 정의된 계층화 개념에 따라 7계층 모두가 포함되어 있고, 또한 그 표시장치도 동일한 개념에 따라 이루어졌다. 압축된 비디오 신호는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네트워크 컨트롤러에 의해 처리되어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따라 계층적으로 화상데이터가 캡슐화되어 전송된다.
□ 네트워크 카메라에 의한 화상 · 신호처리를 위한 요소기술 중에서 화상압축에 이용되는 기초기술에는 공간 주파수분해에 의한 용장성(冗長性)의 배제, 이산 코사인 변환(DCT)에서 얻어진 주파수항의 부호화(하프만 부호화, 산술부호화), 프레임 간의 상관을 이용한 차분(差分), 움직임의 검출 등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화상압축 기술에는 JPEG, H.261, MPEG 등이 포함되어 있다.
□ 네트워크 카메라는 그 이름과 같이 네트워크 터미널에 붙어 있어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따라 신호가 송출된다. 네트워크에서 특징적인 것은 영상 데이터를 연속적이 아니라 패킷(packet)에 격납되어 선출된다는 것이다. 패킷은 프로토콜에 따른 관리정보(어드레스, 패킷의 종별, 에러제어, 세그먼트 되는 경우는 그 관리정보)와 페이로드(애플리케이션 영역) 정보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서 패킷은 OSI 개념에 따라 복수의 관리정보로 다중으로 캡슐화되어 있다.
- 저자
- Yukimitsu SAKURA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33(2)
- 잡지명
- 화상전자학회지(N45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212~220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