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 교환용 화상 파일 포맷(File Format for Image Exchange)
- 전문가 제언
-
□ 여러 종류의 화상 관련 기기가 디지털화 되고, 종래에는 없었던 이들 기기 간의 데이터 교환 요구가 증대하면서 기록 포맷에 대한 요건도 점차 변화되고 있다. 또한 기록 포맷과 함께 기기 간의 화상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절차 및 교환하는 정보 결정체인 기기 간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중요성도 더욱 증가하였다. 본고에서는 입출력 기기 간의 화상 교환을 위해 2003년 책정 발표된 디지털카메라와 프린터의 파일 포맷 Exif/DCF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 Exif는 디지털카메라로 기록되는 화상 파일 또는 음성 파일을 취급하는 시스템에서 화상, 음성 및 태그의 포맷에 대한 규정이다. 여기에는 화상 · 음성 파일의 기록 방법이 각 항목마다 필수 · 장려 · 옵션으로 이루어지는 대응 레벨이 규정되어 있다.
□ DCF는 DOS FAT 시스템으로 포맷된 착탈식 메모리 카드 상에서 화상데이타를 기록 · 읽어내며 재생하기 위한 규격이다. 또한, DCF 규격은 재생 호환에 필요한 규정을 부가한 운용 룰이며, 파일 포맷의 기본은 Exif 규격을 따르고 있다.
□ Exif/DCF는 카메라용의 포맷이기 때문에, 일단 가공이 이루어진 데이터에 ICC 프로파일을 부착하는 경우는 규격 범위 밖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JPEG(Exif/DCF)와 가공 후의 JPEG(JFIF)가 공통된 환경에서 취급되므로, 2가지의 규격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과 운영에 대해서도 향후 규격 개정 과정에서 계속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 Exif/DCF는 원래 디지털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의 여타 기기와 호환을 위하여 제정된 것이다. 따라서 여타 기기의 발전과 속도를 같이 한다. 섬네일 표시에서 PC용 디스플레이 VGA(640x480) 혹은 SVGA(800x600) 환경의 해상도를 160x120로 규정되었으나, 향후 고급화되는 사용자 환경을 고려하면 이 섬네일 사이즈는 보다 커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원화상을 축소하는 데에는 연산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정해진 포맷 내에서 표시에 적합한 사이즈로 축소 화상을 효과적으로 만드는 것이 앞으로 검토되어야 할 과제이다.
- 저자
- Kentaro MATSUMO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33(2)
- 잡지명
- 화상전자학회지(N45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236~241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