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일상생활에서의 자외선의 응용과 안전성(Application of UV at Daily Life and Consideration of its Safety)

전문가 제언
□ 태양광중 적외선은 인체 감지나 전자기기 리모콘 등의 센서나, 열처리 공정 등에, 자외선은 살균·탈취 혹은 수지의 경화 처리 등에 이용된다. 한편, 자외선에 의한 인체나 지구 환경에의 영향 등이 염려되고 있다.

□ UV-C는 공기 중의 산소 분자와 오존층에서 차단되어 지표에는 거의 닿지 않는다. 생체에의 영향이 강한 UV-B가 오존층 변화에 영향을 받으며, 생태계 및 인체로의 다양한 악영향이 문제이다. 자외선(특히 UV-B) 양은, 태양의 고도각, 날씨, 오존 전량, 대기오염도 등에 따라 변하며, 오존층 두께가 1% 감소하면, 지상 자외선 양은 약 1.5% 증가한다.

□ 「두께 3㎜의 우주복」에 비유되는 오존층은 지표 50km이상으로 넓게 분포되어 있지만, 대기 중의 오존은, 그 90%가 지상 약10~50km 상공의 성층권에 모여 있어, 「성층권 오존층」이라고도 불린다. 이 오존층이 자외선을 차단하여 지구상의 생명을 지키고 있다.

□ 자외선 폭로 직업 중 태양광 폭로는, 대부분의 옥외작업으로, 농업, 어업, 토목 건설업, 눈·빙상 작업에서 정도가 심하다. 인공 광원 폭로는, 아크 용접, 자외선 살균등 아래 작업, 유전자 검사 등이 있다. 작업장 자외선 노출 방지를 위해서는, 자외선 발생원을 차광커텐 또는 차광판으로 차폐하고, 보호 도구(차광안경, 차광면, 자외선 차단 크림 등)를 사용한다.

□ 1998년 6월부터 시행된 한국 기상청 자외선 지수 예보는 하루 2회 발표되는데, 06시 발표는 당일, 18시 발표는 익일의 자외선 지수로, 태양 고도가 최대인 남중시각 때 지표에 도달하는 UV-B의 복사량이다.

□ 한편, 자외선 이용분야로는, 자외선의 에너지를 이용하는 형광체와의 조합에 의한 가시광원, 유해물의 분해와 공기청정, 멸균, 주광성을 이용한 살충, 피부병의 진단․치료, 도료 등의 경화촉진, 특수효과 디스플레이 및 조명용 광원의 자외선 비율 조정 등이 있다.
저자
Kotaro Komo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4
권(호)
88(4)
잡지명
Journal of the iluminating engineering institute of Japan(A088)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202~207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