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환경 적합성과 비이온 계면 활성제

전문가 제언
□ 국내 계면활성제 산업은 65년 동남합성공업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생산을 시작으로 섬유산업의 활성화와 함께 섬유용에 주로 사용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중심으로 그리고 세제용도에 치중하여 성장하였으나 점점 비섬유분야에 대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이중 비이온 계면활성제 국내시장은 연간 520억원 수준으로 생산업체는 호남석유화학, 한남 화성, 동남합성 등이다.

□ 일본의 Sanyo Chemical Industry가 최근 노닐페놀계 대체품인 알코올계 비이온계면활성제를 개발하였으며 이 제품은 고급 알코올계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로서 부가도 분포를 좁게 하는 새로운 합성기술을 응용한 것으로서 종래의 알코올계 비이온계면활성제에 비해 동등이상의 세정력과 우수한 표면장력 저하능, 우수한 생분해성 그리고 수용액은 저기포성 특성을 지니고 있다.

□ 한국의 동남합성은 2002년 화학연구원 촉매화학팀과 공동으로 세정력과 생분해성은 뛰어나면서도 부가도분포가 좁은 환경친화형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NRE(Narrow Range Ethoxylates, 상품명 ENAZOL)를 개발하여 현재 샴프와 유아용품에 이용되고 있다. 이것은 BRE(Broad Range Ethoxylates)와 비교하여 우수한 세정성, 고기포성, 저표면장력, 뛰어난 용해성, 우수한 효소 안정성능을 가지고 있다.

□ 계면활성제 생산업체들의 해외기술제휴 기간도 대부분 만료된 상태이고 외국업체들이 기술이전을 기피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생산체들은 어려움에 처해 있는 것이 현실이며, 특히 GHS제도의 도입에 따라 세정력과 생분해성은 뛰어나면서도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수질오염을 적게 유발하며 보다 독성이 적은 환경친화적인 계면활성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저자
HASHIMO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39(4)
잡지명
가공기술(B709)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29~234
분석자
성*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