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생물학을 향한 프로테오믹스의 접근(System Biology Studied by Proteomic Approaches)
- 전문가 제언
-
□ 생명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백질의 활성조절 기능과 단백질 양의 중요성과 이에 따른 단백질의 합성과정, 속도 및 분해과정 등이 이해되어야만 하며 이와 같은 기능을 포괄적으로 취급하는 융합된 새로운 학문으로 proteomics는 “유전형질학” 또는 “유전형질연구”라는 합성된 생명과학분야 학문으로서 현재 세계적으로 성황리에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 proteomics의 발전은 생명과학 관련 산업과 연계되어 지대한 영향이 기대되는 연구분야이다.
□ 생명과학, 정보과학 등이 융합된 학문분야로서 유전자 해석정보를 computer로서 각종 유전자의 기능과 예측실험 등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실험결과를 본래의 유전자간의 상호작용을 예측한다든가 하는 유전자에 관한 정보를 network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생명분석학” 또는 “생물정보학” 등으로 부르며 각국의 연구기관이나 민간기업에서 연구경쟁이 격화되는 있는 실정이다.
- 저자
- Hisaaki Taniguc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23(4)
- 잡지명
- 세포공학(N20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24~428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