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산위생의 과제와 전개

전문가 제언
□ 축산업은 매우 다양하여 육우생산업, 낙농업, 양돈업, 가금생산업, 특수가축생산업 등과 같은 생산위주의 산업과 육가공업, 유가공업, 부산물가공업 등 가공과 이용을 주로 하는 산업, 그리고 이들 산업을 지원하는 사료, 약품과 시설에 관한 산업으로 구별된다. 산업기술의 개발을 뒷받침하는 학문은 가축유전 및 육종학, 가축번식학, 가축영양학, 가축사양학, 사료작물학, 초지학, 축산가공학, 가축위생 및 질병학, 축산기계학, 축산경영학 등이 있다.

□ 광우병(BSE)은 소에서 발생하는 퇴행신경성질병으로서 프리온 질병(prion disease)이라고도 불린다. 이 질병은 소에 치명적인 질병으로 이 병에 걸린 소는 불안, 보행 장애, 기립불능, 전신마비 등 임상증상을 보이다가 결국은 100% 폐사한다. 사람도 오염된 고기를 먹거나 이 병에 걸린 사람의 혈액을 수혈 받으면 인간광우병인 CJD라는 병에 걸릴 수 있다. 현재로서는 쇠고기의 광우병 감염여부를 시험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광우병을 판별할 수 있는 신뢰할만한 방법은 감염된 소의 뇌 조직을 검사하는 것뿐이다.

□ 구제역(口蹄疫)은 소, 돼지, 양, 사슴 등 발굽이 두 개로 갈라진 동물에서 발생하는 제1종 바이러스성 가축전염병이다. 전염된 동물은 고열을 띠며, 입, 발굽, 유방 등에 수포가 생기고 침을 많이 흘리는 증상을 보인다. 또 식욕부진현상과 다리를 질질 끄는 현상을 보이다가 죽게 되는 치명적인 질병으로서 국제수역사무국(OIE)이 지정한 가장 위험한 A급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사람에게는 감염되지 않으며, 감염된 고기를 사람이 먹어도 인체에 전혀 영향이 없다고 알려져 있다.

□ 조류독감은 조류에 서식하는 바이러스형 독감으로 조류의 배설물을 통해서 전염되며 심한 고열과 근육통 등 독감과 비슷한 증상으로 시작되어 폐렴으로 이어진다. 소독과 방역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 광우병, 구제역, 조류독감은 축산업계와 육류 소비자에게 큰 타격을 주는 가축의 3대 전염병이다. 이들의 발병원인을 구명하는 데 학술적인 노력을 경주함은 물론, 그것을 바탕으로 예방법을 조속히 개발해야 할 것이다.

□ 또 육류의 감염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감염된 고기를 먹을 경우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소비자에게 정확히 알려서 국민건강에 철저를 기해야 할 것이다.
저자
Hajime Nagahat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58(4)
잡지명
축산연구(A138)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43~451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