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근접 장 플라즈모닉스

전문가 제언
□ 근접장 광과학 및 광기술은 회절 한계를 극복하는 고분해능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다양한 광학적 특성을 나노 영역에서도 연구할 수 있기 때문에 물리학, 화학, 공학 등 여러 가지 분야에 서로 연관을 맺고 있다. 그러므로 이 광학 분야는 다양한 연구 분야로 함께 연구함으로써 새로운 광학 관련 연구가 가능하고 새로운 첨단 연구 영역의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광학 현미경은 빛으로 물체를 관측하기 때문에 회절 현상에 의해 빛 파장의 0.5 이하의 물체는 관측할 수 없다. 따라서 광학 현미경으로 볼 수 없는 작은 크기의 물체를 관측하기 위해서 매우 뾰족한 탐침을 시료 표면에 직접 접촉시키거나 매우 근접시킨 후 표면을 주사하여 관측하는 주사탐침 현미경(scanning probe microscope)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주사탐침 현미경은 원자 수준의 고분해능의 표면 구조 3차원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그 외의 물리적 성질을 알아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근접장주사광학현미경(NSOM)은 표면 측정과 동시에 광학적 특성 측정을 파장보다 매우 작은 수준에서 행할 수 있다.

□ 표면 플라즈몬(surface plasmon)에 관한 연구는 근접장 효과(표면효과)로부터 시작하여 공명효과 (증감)효과로 발전시켜 현재 국부적 증강효과 즉 나노 영역에서 특유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금속미립자, 박막의 형태와 그들의 표면 플라즈몬의 고유 진동수를 조사하였다. 또한 플라즈모닉, 밴드 갭, 레이저, 왼손계 광학 현상으로 완전 영상 등에 대해서도 조사 연구하였다.

□ 최근 근접장 광학 발견과 그 응용 기술의 발달로 플라즈모닉스는 이미 서브파장 광학의 주역으로 도약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과거부터 최근에 이루어진 연구를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를 가진 금속을 이용한 플라즈모닉스의 응용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향후에도 플라즈모닉스에 대한 연구는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한 연구가 더욱 발전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저자
KAWADA ; OKAMO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26(4)
잡지명
O Plus E(F039)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99~405
분석자
오*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