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과 광 근접장

전문가 제언
□ 최근, 첨단기술인 신호전달, 화학분석, 센서 등은 광자 및 광전자 디바이스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 광전자 디바이스도 전자 디바이스와 마찬가지로 속도와 민감도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더욱 작아져야 하지만 현재의 유전체로 만들어진 광 도파로와 같은 광자 디바이스의 경우, 빛의 회절에 의해 빛을 도파시키기 때문에 빛의 1/2 파장 정도의 크기 이하로 제작하기는 어렵다.

□ 근접장 광은 진행하지 않는 영역의 빛으로 회절한계를 초월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나노 크기의 광자 디바이스를 제작할 수 있는 가능성이 보고 되면서 근접장 광학은 새로운 방향으로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 금속 나노 입자는 전도전자(conduction electron)의 공명집합진동(resonant collective oscillation)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의 빛에 의해 에너지를 받게 되면 이러한 전자들의 진동은 광학적으로 여기 되어 나노 입자에 묶여 있는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SPP)을 형성한다.
- 은이나 금의 표면에 SPP가 여기 되면 강하게 증강되어 표면으로부터 수백nm 이내의 범위에 국부적으로 존재하는 전장(電場)이 유기(誘起)된다.
- 이와 같이 국부적으로 존재하는 전자장(또는 광)이 근접장 광학에서 응용 개발의 초점으로 되고 있다.

□ 우리나라의 근접장 광에 대한 연구개발은 대학 및 연구소가 중심이 되어 학술적인 연구 위주로 진행되고 있으며, 연구내용은 주로 표면구조의 변화에 대한 부분과 간단한 프로브 제작 및 특성 측정 등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 소자 제작을 위한 가공기술 개발은 삼성전자, LG전자, 대우전자, 전자부품연구원, 서울대 등에서 MEMS 기술을 이용하여 시도하고 있다.
저자
HAYAS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기초과학
연도
2004
권(호)
26(4)
잡지명
O Plus E(F039)
과학기술
표준분류
기초과학
페이지
378~384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