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접장 광이란 무엇인가
- 전문가 제언
-
□ 인간이 물체를 감별할 수 있는 것은 빛이 물체에 부딪혀 상호작용에 의해 반사되거나 혹은 그대로 진행하는 것에 의해 사람의 눈이나 관측장치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 빛은 물체에 부딪혀 단순히 진행하는 것만 있는 것이 아니고 물체의 표면에 머물러 있는 것도 존재하며, 이것이 근접장 광이다.
○ 지금까지 수백 나노미터 이하의 물질은 회절한계 때문에 구조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 근접장 광은 회절한계가 없으므로 이를 이용하면 미세 구조 및 광학적 미소 물리량의 측정이 가능하다.
□ 근접장 광 기술은 회절한계를 극복하는 고분해능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광학적 특성을 나노 영역에서도 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물리학, 화학, 생물학, 공학 등 학제간 새로운 광학관련 연구가 가능하여 새로운 첨단연구영역의 개척이 가능하다.
○ Ohohtsu 는 근접장 광기술를 단순히 회절한계를 초월한 기술로서 고분해능의 계측에 사용하는 것뿐 아니라 종래의 광기술로는 불가능하였던 새로운 현상을 창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 근접장 광에 관한 연구개발은 초보적인 수준으로 대학 및 연구소를 중심으로 학술적인 연구가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며, 연구내용은 주로 표면구조의 변화에 대한 부분과 간단한 프로브 제작 및 특성 측정 등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 소재 제작을 위한 가공기술 개발은 삼성전자, LG전자, 대우전자, 전자부품연구원, 서울대 등에서 MEMS 기술을 이용하여 시도하고 있다.
- 저자
- M. Ohohtsu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기초과학
- 연도
- 2004
- 권(호)
- 26(4)
- 잡지명
- O Plus E(F03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기초과학
- 페이지
- 372~377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