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온초전도 벌크형 전류리드의 개발(Development of RE-Ba-Cu-O Bulk Current Leads)
- 전문가 제언
-
□ 고온초전도 재료는 액체질소 온도 77˚k 이하에서 전기저항이 0이 되므로 이 온도이하에서는 쥴 열이 없으며 또한 재료 자체가 세라믹이므로 열전도성이 나쁘다. 초전도 코일의 에너지저장 장치 또는 냉동기 냉각형 초전도 마그넷장치에 전류를 흘릴 때 인입선에서의 열 차단을 위한 전류리드의 재료로서는 아주 적합하다. 따라서 이러한 전류리드는 초전도 재료를 사용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오늘날 이 전류리드는 냉동기 냉각형 초전도 마그넷에 없어서는 아니 될 품목으로 되었다.
□ 고온 초전도 재료로서는 주로 Bi-Sr-Ca-Cu-O계 재료와 Y- 또는 RE- Ba-Cu-O계 재료가 있으나 현재 개발된 전류리드는 대부분 Bi계로 되어있다. Bi계 재료가 결정입자 계면에서 약결합성 문제가 적고 비교적 제작하기가 쉬우므로 이 재료가 많이 채택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Ba계는 취약성은 크지만 강자장(强磁場)에서도 임계전류밀도가 크므로 대전류 강자장하에서 사용될 차세대 전류리드 재료로서 적합하다. 금번에 개발된 벌크형 Ba계 전류리드는 용융법으로 결정입자 경계면에서 약하게 결합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서 앞으로 대 전류 차세대 전류리드의 제작을 일반화시켰다고 하겠다.
□ 전류리드의 재료가 Bi계에서 Ba계로 이동하고 있음은 이용전류의 대형화와 제작기술의 발전에 따른 필연적인 결과로 본다. 우리의 기술수준도 하루 속히 높여 나아가야 할 것이다.
- 저자
- Hidekazu TESHIMA ; Mitsuru MORITA ; Hosei HIRAN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39(3)
- 잡지명
- 저온공학(N14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73~79
- 분석자
- 양*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