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레이저 정밀가공 기술현황 및 과제(The Latest Laser Precision Microfabrication Technologies Seen in Recent International Conferences and Some Urgent Issues in japanese Laser Industry)
- 전문가 제언
-
☐ 전자·전기, 정밀기계, 통신 산업, 우주·항공기 산업 등에서 정밀 이음부를 접합할 때 사용하는 고밀도 에너지 레이저 빔 용접기술은 생산성이 뛰어나고 용접부의 품질이 우수하여 선진기술국에서는 이 분야의 연구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미국의 Scottsdale(Arizona)에서 열린 ICALEO 2002(10. 14~17, 2002)과 Jacksonville(Florida)에서 열린 ICALEO 2003(10. 13~16, 2003)에서 레이저 빔 용접기술에 관해 Laser Direct Fabrication & Processes/Diode Laser Processing/Hybrid Laser Arc Welding/Laser Welding/Laser in Manufacturing/Process Sensing & Control/Keyhole Phenomena 등 7개 분야에서 90편의 기술개발 논문이 발표되었다. 주요 국가별로는 미국에서 26편, 일본에서 13편, 독일에서 12편, 영국에서 9편, 핀란드에서 7편, 한국과 캐나다에서 4편의 레이저 빔 용접기술을 발표하였다.
☐ 현재 미국과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은 레이저빔 용접과 기존의 아크 용접을 동시에 사용하여 두 용접법의 장점을 최대로 발휘하는 21세기의 신용접법인 레이저 아크 복합용접 기술의 실용화를 위한 고급 핵심장비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부품에 필요한 고기능/고성능, 고밀도 실장, 고속/대용량의 정보전달 등의 기능을 지닌 PCB의 COB 실장기술인 플립칩과 와이어 본딩 접합공정에 핵심적으로 사용되는 레이저 솔더링 복합 접합 기술 등에 대해서도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 본고에서 지적한 일본의 레이저 산업의 부진 원인은 우리나라에서도 깊이 생각해야 할 문제이다. 첨단 생산설비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정부출연연구소와 학계 및 산업계에서 개발한 연구성과를 국내 산업에 적극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는데 힘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중복 연구개발 투자를 막고, 연구소-산업체-학교의 개발목표와 전략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 저자
- Kunihiko WASHI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30(2)
- 잡지명
- 고온학회지(F12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68~72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