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 납의 생체이용효율 및 납오염 토양의 원위치 복원(Soil lead bioavailability and in situ remediation of lead-contaminated soils: A review)
- 전문가 제언
-
□ 근래 토양오염이 환경상 매우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어 우리나라에서도 다른 환경 분야에 비하여 늦기는 하였지만 1995년에 토양환경보전법을 제정하여 1996년부터 시행하면서, 이 법에 준하여 “토양오염 공정시험방법”으로 수소이온농도, 수분, 시안, 6가 크롬, 구리, 카드뮴, 납, 비소, 수은, 유기인,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PCB), 페놀류, 벤젠. 톨루엔. 에틸렌. 크실렌(BTEX), 석유계 총 탄화수소(THP)를 검사하고 있다.
□ 납은 그 자체는 말 할 것도 없고 가용성 납 등 체내에서 녹아 납 이온을 생성하는 것은 모두 유독하다. 현재도 납이나 납을 함유하는 제품을 다루는 직업에서는 직업병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납의 체내 흡수 경로는 위장과 폐인데, 위장은 음식물을 통한다고 볼 수 있으나 폐의 경로는 공기를 통하는데, 납과 같은 고체가 공기를 통하는 길은 납이 고온에서 증발되었다가 다시 식으면서 연기(fume)가 되어 공기 중에 부유하기 때문이고, 또한 자동차와 항공기용 연료의 옥탄가를 올리기 위해 사용되는 4알킬연(四-鉛, tetraalkyl lead)의 배출가스에 유래되므로 사용을 금하고 있다.
□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 103조에서 ① 작업시작 전에 드럼통 등을 놓아둔 장소의 누출여부를 점검하고 ② 4알킬연이 누출되거나 누출될 우려가 있는 드럼통 등을 보수하거나 그 밖의 필요한 조치를 하며 ③ 4알킬연에 오염된 드럼통 등은 제거하고 당해 장소의 오염을 제거하여야 한다.
□ 납의 유독성 중 가장 주의 할 점은 안전한 수준의 납도 아동들의 IQ를 손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나오고 있으므로 납에 대한 주의는 매우 엄격해야하고, 토양 중에 함유된 납오염 토양의 복원사업을 보다 활발하게 진행하여야 하겠다.
- 저자
- Hettiarachchi, GM; Pierzynski, GM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23-1
- 잡지명
- ENVIRONMENTAL PROGRES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78~93
- 분석자
- 김*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