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MR-pH적정에 의한 미량 산-염기 파라미터의 계측(Determination of microscopic acid-base parameters from NMR-pH titrations)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은 Hungary Lorand Eotvos대학 화학분석연구실 Zoltan Szakacs에 의하여 방대한 참고문헌을 이용해서 리뷰한 내용인데 NMR-pH 적정으로 평형상수를 계측할 대상 물질은 모두 생화학물이다. 수소이온 농도를 측정하는 기술은 분석화학 분야에서 가장 기초가 되고 연구의 역사도 오래되며 현재에는 보편화되어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생체화합물에 있는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해서 그 값을 이용해서 평형상수를 계측하여 생체의 미묘한 대사관계를 연구하는 시도는 그 역사가 오래되지 않았다.
□ 대상화합물의 염기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그 화합물의 용액을 만들어서 미량 핵 상수를 수리적인 방법으로 결정, 화합물과 화합물의 물성, 성격 그리고 특성을 규명하는데 NMR-pH 적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그 대상이 생물분자일 경우에는 분자내부의 기능이 단순화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무기물의 분석방법과는 판이하게 다르다. 기술적인 내용은 같을 수 있으나 시료조작에서 여러 가지 생각하지 못했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생물분자의 시료를 대별해서 그 고분자의 특성에 따라 분석용 시편을 제작하는 방법이 이 분야의 연구에서 가장 중요시 되어야 하는데도 이것에 대한 문헌색인은 발견할 수 없다. 다만 특수한 화합물계열에서 표준시편을 만들어 분석하는 방법을 답습하고 있는 것 같다.
□ 1990년대 이전에 무기물, 유기물에 대한 분석기술은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래서 지금은 생물분자에 대한 기능분석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추진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 분야의 국내연구논문도 엄청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외국에서 수행되고 있는 NMR-pH 적정에 관한 논문의 대부분은 생물분자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획기적인 성과는 아직 보이지 않고 산, 염기농도 측정에 의하여 수리적으로 마이크로상수, 매크로 상수를 계산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고 그의 응용, 활용에는 아직도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저자
- Szakacs, Z; Kraszni, M; Noszal, B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378-6
- 잡지명
- ANALYTICAL AND BIOANALYTICAL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428~1448
- 분석자
- 박*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