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건강의 최신 정보(Update in womens health)
- 전문가 제언
-
□ 최근 여성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여성의 건강을 여성의 삶 전체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다. 여성건강의 기본 철학은 여성을 위한 여성 중심의 건강관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상자인 여성의 건강요구나 건강에 대한 신념, 가치, 경험을 중시하고, 여성등의 자율적인 건강관리 능력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본 최신 정보에서는 2002년도 발간된 11권의 논문들을 검토하여 여성의 비뇨생식기의 상태, 호르몬 요법, 심혈관 질환, 그리고 유방암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 운동이 여성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연구가 있다. 운동을 하는 여성은 활동량이 적은 여성에 비하여 총 사망률이 감소하였고, 예방적 약물치료 보다 당뇨병의 예방효과가 컸고, 대장암과 유방암의 예방효과가 있었다. 운동을 하면 어린이와 청소년기 여성에서는 골량 증가 효과가 있고, 임신의 합병증이나 임신 후 체중 증가에 바람직한 효과를 보였다.
□ 여성들이 평소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문제는 골다공증, 치매, 자궁암, 유방암, 관절염, 중풍, 고혈압 순 이였다. 치매는 폐경기 이후 에스트로겐 호르몬 요법을 받아온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치매 유병율이 현저히 낮다는 연구결과 있다. 유방암은 2001년 현재 한국 여성암 중 가장 빈도가 높은 암이며, 전 세계적으로 2000년 현재 매년 100만명의 새로운 환자가 유방암으로 진단받고 있다. 유방암은 유방촉진법이나 유방 촬영술(mammography)로 조기발견이 가능하며, 초기 시술로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그러기 위하여 암 조기발견에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중재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므로 유방암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그러나 국가적 차원의 암 조기검진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므로 앞으로 유방 촬영술의 역할이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 여성건강 증진행위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의 실천적 정도가 적은편이며, 대상 여성들이 시행하고 있는 대응방법이 자신들의 건강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Carnes, M; Mahoney, J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140-7
- 잡지명
- ANNALS OF INTERNAL MEDIC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38~544
- 분석자
- 주*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