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RNA- 게놈 기능연구에서의 응용과 질병치료제로서의 가능성(siRNAs: Applications in functional genomics and potential as therapeutics)
- 전문가 제언
-
□ 현재 실험실 수준에서 쓰이고 있는 siRNA 기법은 크게 두 가지 형태이다. 하나는 20여개의 염기로 이루어진 조각 형태로서 이들은 비특이적 반응이 적으면서 만들기 쉬운 장점이 있지만 대신 세포 내에 오래 존재하지 못하여 세포 분열 정도에 따라 그 지속 시간이 달라진다. 두 번째 형태는 shRNA(short-hairpin) RNA를 발현하는 벡터 형태이다. 이 경우 발현된 shRNA는 세포 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효소들에 의해 기능을 갖는 20여개의 염기로 이루어진 siRNA 조각으로 잘리게 된다. 벡터 형태는 cDNA를 이용하여 손쉽게 만들 수 있고 다른 바이러스 벡터와의 호환성도 좋고 유전자 발현 억제도도 좋은 반면 높은 발현율로 인한 부작용과 디자인의 어려움도 존재한다.
□ 1~2년 전까지는 각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에 알맞은 siRNA를 디자인하고 제작하여야 했으나 최근에는 QIAGEN이나 OPEN BIOSYSTEMS 같은 회사에서 유전자 발현 억제도가 검증되어 있는 siRNA 또는 shRNA 벡터를 판매하고 있어 연구 대상 유전자에 대하여 손쉽게 siRNA 기법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있다.
□ siRNA는 응용가능성이 매우 넓은 기술이지만 아직도 그 작용 기작에 대해서는 완벽하게 밝혀져 있지 않아 현재에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인 연구자들에 의해서도 많은 연구 성과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서울대 생명과학부의 김빛내리 교수가 small RNA 작용 기작에 대하여 좋은 연구 성과를 보이고 있고 미국에서는 최근 서울대 생명과학부 출신의 송지준 박사가 Cold Spring Harbor 연구소에서 Nature Structural Biology 등의 유명 저널에 small RNA 작용 기작에 대한 여러 논문들을 기고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앞으로 이 분야에서 한국 과학자들의 많은 활약이 기대된다.
- 저자
- Dorsett, Y; Tuschl, T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3-4
- 잡지명
-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18~329
- 분석자
- 황*룡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