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전문가 제언
□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은 1967년 Ashbaugh 등이 갑자기 발생하는 빈호흡과 저산소증, 미만성 양측성 폐침윤과 함께 폐의 유순도 저하를 보이는 환자군을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이라 명명 하였다. 이 병의 위험인자로는 폐혈증, 외상, 대량수혈, 위 내용물의 흡입, 폐좌상, 폐렴, 폐수술 등이 있어나 아직까지 그 원인과 임상양상, 치료, 경과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질환을 가진 사람의 30%가 이 증상으로 사망하며 미국에서는 연간 80,000여명이 이 질환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병의 높은 치사율(50~60%) 때문에 많은 임상의들의 관심과 연구대상이 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수의학 의사들이 동물의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과 인간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을 비교하면서 치료방법과 면역성 조절방법 등을 많은 문헌을 인용하여 설명하고 있다.

□ 동물이나 인간을 대상으로 지금까지 수행되어 온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유아 및 소아의 병태생리학적 상황을 규명하기에는 상당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성인에 비해 생리학적으로나 면역학적으로 매우 유약한 유아 및 소아 그룹의 급성 폐 손상 병태생리학적 상황과 그 진행과정을 규명하기 위한 적절한 실험모델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국내에서 유아기 급성 폐 손상 병태생리 연구를 위한 어린 토끼 실험 모델을 사용한 연구가 있고, 내독소 투여로 유발된 흰쥐의 급성 폐 손상에서 계면활성제(surfactant)투여가 미치는 연구도 있고, 젊은 흰쥐와 늙은 흰쥐에서 인터루킨(interleukin)으로 유도된 급성 폐 손상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도 수행되었다.

□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의 치료는 충분한 영양 공급, 감염의 예방, 통증 조절, 심부정맥 혈전증의 예방 등의 적절한 보존적 치료와 함께 기계 호흡의 조절이 중요하고, 특히 최근에 복와위(prone position), 산화질소 가스 환기의 효용성이 입증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 방법이 1998년 7월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다. 이러한 치료법이 도입된 후 사망률이 현저히 감소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다른 보존적인 치료의 개선과 의료진의 경험 축적에 따른 문제 해결 능력의 발전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해서는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Wilkins, PA; Seahorn, T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20-1
잡지명
VETERINARY CLINICS OF NORTH AMERICA-EQUINE PRACTICE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53~273
분석자
주*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