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물정제의 원리(Principles of biorefineries)

전문가 제언
□ 환경 및 안전의식과 더불어 생물공정이 각광을 받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지금은 원료까지도 천연원료를 이용하려는 심리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식품이나 의약품의 경우는 더욱 더 그러하다.

□ 지금까지 전 인류가 생산하는 연간 총생산품의 35~40%가 석유를 원료로 한 것이었다. 그러나 석유자원이 2045년까지는 완전 고갈될 전망이므로 화석대체자원의 탐색과 개발은 인류의 존립을 위해서도 매우 시급한 과제이다. 식량이나 에너지의 용도가 특히 더 그러하다.

□ 이를 위해 석유자원의 소비를 줄이고 새로운 대체자원을 개발하자는 Agenda 21 Program(1992)에 이미 170개국 이상이 서명했고, 대체에너지원으로서는 수소․태양열․풍력․동위원소 및 바이오매스 등의 이용방안이 집중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식량자원으로서는 미세조류와 미생물자원 및 인공종자 등이 각광을 받고 있다. 폐자원의 재활용도 중요한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 생물정제기술(Biorefinery)은 천연 바이오매스를 생물학적 방법으로 식량이나 에너지 및 고부가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이다. 효소나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전환기술과 더불어 화학적 가공기술을 접목한 하이브리드기술(hybrid technology)은 이미 일반화되어 많은 고부가물질의 창출에 활용되고 있다.

□ 우리나라도 구미 제국처럼 생물전환기술에 의한 국가적 개발목표를 이미 설정한 바 있으나, 생물의약품이나 의학관련분야에 지나칠 정도로 연구계획이 치중된 인상이다. 효소공업과 발효공업 및 식품가공관련분야에도 골고루 예산이 배정되도록 정책당국의 재고가 요망된다.
저자
Kamm, B; Kamm, M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64-2
잡지명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37~145
분석자
임*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