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물로부터 생산되는 생물약제(Plant-based production of biopharmaceuticals)

전문가 제언
□ 생물약제들은 DNA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생물체로부터 유래한 물질이며 이들은 치료 및 예방약제로 사용된다. 기존의 의약제품들이 보통 분자량이 작은 물질인데 반하여 이들은 분자량이 큰 단백질, 펩티드, RNA, DNA와 같은 핵산 혹은 비활성화된 바이러스/박테리아 등이다.

□ 이들 재조합 단백질 생산에 식물을 대규모 생산 발판으로 이용하는 방법들이 확산되고 있다. 개발 초기의 식물유래 재조합 의약품들이 현재 임상시험의 최종단계에 있으며, 더 많은 제품들이 개발 pipeline에 들어가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새로운 식물유래 발현기술이 지난 2년 동안 응용 유전자공학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다는 증거이다. 이 과정에서 낮은 수율, 불균일한 제품의 질 등과 같은 단점이 많이 개선되었다.

□ 이들 식물유래 생물의약품들의 문제점 중 하나는 동물에서와는 달리 글리코단백질이 균일한 글리칸 구조를 갖지 않는다는 점으로 어떤 구조는 식물에서만 나타나고 있어 이들이 정규적으로 투여되었을 때 면역계의 항원으로 작용하여 내성 또는 면역 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반면 일반적으로 식물유래 형질전환 단백질들이 동물유래 단백질들보다 병원균의 오염이 적어 안전하다는 것은 장점으로 볼 수 있다.

□ 이들은 환경에 지속적으로 존재하거나 생체 내에 지속적으로 축적되는 특성이 있어 표적이 아닌 세포에 손상을 줄 수도 있으며 환경을 오염 시킬 수 있다. 이러한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하여 유전자발현을 수확 후에 유도하거나 oleosin-hirudin과 같은 융합 단백질은 정제 후에만 활성을 갖게 한 예가 있다.
저자
Fischer, R; Stoger, E; Schillberg, S; Christou, P; Twyman, RM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7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PLANT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52~158
분석자
이*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