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계 미생물 오염의 평가와 관리(Assessment and management of watershed microbial contaminants)

전문가 제언
□ 불과 100년 전만 해도 인간의 평균 수명은 40세가 넘지 못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제 선진국에서 평균 수명은 70세가 넘었고 여자들의 경우에는 80세에 접근하고 있다(일본과 아이슬란드 같은 나라는 이미 이 수준을 넘어 섰다.).

○ 그러나 이러한 인간의 수명 연장의 원인은 질병 치료 기술의 발달보다는 인간이 사는 주변이 더 위생적으로 개선되었기 때문이라 한다. 19세기만 해도 유럽의 대도시에서는 교통수단으로 사용하던 마차를 끄는 말의 분뇨와 인간의 분뇨를 그대로 도로 위에 버렸고 이것의 밟힘을 최소화 하고자 여자들의 “하이 힐”이 나왔다는 설까지 있다.
- 그 중에서 이 위생적 환경을 인간에게 가져다 준 가장 큰 공로자는 하수도의 설치였다고 한다. 그럼으로써 병원균과 그 매개 동물을 인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었던 것이다.

□ 본문은 수계가 병원균 미생물에 오염되는 다섯 가지 원인을 분석하고 그 대응 기술에 대하여 상세히 검토하였다.

○ 본문에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으나 “복합 하수”는 오래 전에 건설된 하수도 시설로 빗물과 인간이 방출하는 하수가 같이 흐르는 시스템을 뜻한다. “위생 하수”는 빗물과 분리하여 인간의 생활 중 발생하는 방출수만 흐르는 하수로 반드시 처리하여야 한다.
- 우리나라도 새로 건설되는 신도시 지역은 우수(雨水)와 오수(汚水)가 각각 분리하게 되어 있다. 이것은 빗물은 처리할 필요가 없음으로 오수로부터 분리하여 하수처리 시설에 부담을 던다는 기본 개념이 깔려 있다. 그러나 본문에서 본대로 이 우수라인에도 병원균이 들어 있어 그 물을 재사용하자면 최소한의 처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우리나라도 단독주택에서는 정화조(Septic tank)로 분뇨를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 분산된 처리 시스템에는 본문에서 지적한대로 누수, 파열 등으로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그러나 가장 큰 문제는 정화조 소유주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다. 규정에는 정화조 소유주는 일년에 일회 정화조 청소 회사에 의뢰하여 정화조를 청소하도록 되어 있으나 잘 시행되지 않고 있다. 이를 강제할 강력한 정부의 의지가 필요하다.
저자
Smith, JE; Perdek, JM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34-2
잡지명
CRITICAL REVIEWS IN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09~139
분석자
김*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