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폐수의 오존처리(Ozonation of municipal wastewater effluents)
- 전문가 제언
-
□ 도시하수 처리수의 수질개선을 위해, 오존 처리가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오존 부산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독성, 돌연변이 등은 연구 결과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발표되었고, 연구 결과 자체도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 우리나라와 같이 동일 수역에서 도시하수 처리수와 음용수원이 공존하는 현실에서는 지역적인 특성이 크게 작용하므로 각 처리장 별로 처리 효율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고가의 오존 발생시설과 비교적 높은 오존 생산원가를 감안할 때 요구되는 수질에 따른 오존 투입량, 미생물 규제 기준 등을 차등 적용할 필요가 있고, 또 우리나라는 극심한 갈수기가 존재하므로 계절적으로 규제 기준을 탄력적으로 유지하는 것도 검토되어야 하겠다.
□ 효율적인 시설관리를 위하여 오존 처리 시설의 표준화 및 설계 기준을 확립하여야 하겠고, 국내에서 생산되는 오존 발생 시설의 성능을 감안하여야 하며, 오존 자체의 인체에 대한 독성과 고전압에 따른 안전 기준도 강화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Paraskeva, P; Graham, NJD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2
- 권(호)
- 74-6
- 잡지명
- WATER ENVIRONMENT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69~581
- 분석자
- 윤*량
- 분석물
-